산불예방교육 실태와 학습지도 방안
Current Status of Forest Fire Prevention Education and Learning Guidance Plan: Focusing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Education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한국위기관리논집
- Vol.19 No.3
-
2023.0369 - 79 (11 pages)
-
DOI : 10.14251/crisisonomy.2023.19.3.69
- 이용수 96

초록
전 세계적으로 국내외 산불 발생의 원인은 사람의 의도하지 않은 실수 및 부주의에 의한 실화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산불 예방 교육을 통해 산불 위험방지 활동에 관한 관심을 강화하고 정기적인교육 및 학습을 실시하여 산불위험에 대한 사회적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초등및 중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산불 예방 교육의 실태를 조사하고 정규과정에서 실행할 수 있는 교육의학습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미래의 주역인 초등 및 중등학교의 정규과정에서 산불 예방교육을 실행하여 산림의 소중함과 산불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의식을 고취해야 한다. 또한 산불을 위협하는 원인적 행동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미래 세대에는 의도하지 않은 실수 및 부주의에 의한 산불발생위험을 감소시키는 데 이바지할 것으로 사료된다.
Worldwidely most of the causes of forest fires are caused by human unintentional mistakes and negligence. As the forest fire prevention education, interest in forest fire risk prevention activities can be strengthened, and social costs related to forest fire risks can be reduced by the regular education and learning. In this study, the actual state of forest fire prevention education in domestic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as investigated and a learning guide plan for education that could be implemented. As the result,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regular forest fire prevention education in regular curriculum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forests and to protect them from forest fires. In addition, by preventing the causative behavior that threatens forest fires in advance, it is consider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reducing the risk of forest fires caused by unintentional mistakes and carelessness in future generations.
목차
1. 서론
2. 산불방지 학생 교육 실태조사
3. 강원 산림 인접 지역 거주 학생들에 대한 설문조사
4. 산불 예방 학생 교육을 위한 학습지도 방안
5.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3)
- 과학수사관의 외상후스트레스 반응에 대한 질적 연구
- 조직 내 의사소통과 공정성 간의 관계에서 세대차이에 대한 탐색적 분석
- 강원도 삼척주민들의 재난경험실태조사
- 성능 기반 저수지 상태평가 방법 개선 연구
- 감염병에 대한 건강신념이 감염병 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일 종합병원의 항암제 취급 간호사의 항암제 안전관리 교육요구도
- 국가지정 감염병전담병원에서 COVID-19 환자를 간호한 간호사의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요인
-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Policy Guarantee Support under the COVID-19 Pandemic Economic Crisis
- 호우 재난 피해자가 경험하는 불만이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 업무연속성관리체계(BCMS)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저출산 및 노동력 부족 위기의 우리나라 공무원 겸직정책에 대한 시론적 연구
- 산불예방교육 실태와 학습지도 방안
- 한국위기관리논집 Vol.19 No.3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