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873433.jpg
KCI등재 학술저널

조직 내 의사소통과 공정성 간의 관계에서 세대차이에 대한 탐색적 분석

An Exploratory Analysis of the Generational Ga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nd Fairness within Organizations: Focusing on Members of Public Enterprises

DOI : 10.14251/crisisonomy.2023.19.3.107
  • 147

본 연구는 공기업 구성원을 대상으로 조직 내 의사소통이 조직 공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세대간 차이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인이 느끼는 공정성에 대한 인식은 조직내 소통과 관련성이 존재한다. 수평적 정보의 공유(H-I), 수직적(상향식)으로 제시 및 제안의 소통(V-S), 사회관계적 소통(V-CU 등)이 공정성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동일한 목적의의사소통이라고 하더라도 그 효과는 세대(나이대)별 차이가 존재하였다. 40대는 수직적 배려 및 이해(효과 강화 조절), 수평적 교류 및 공감 소통(효과 감소 조절)에서 강화와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0대의 경우는 의사소통의 효과가 약화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현재 공공조직의 조직 관리차원에서 세대별의 차이를 인식하여 조직 내 의사소통의 접근방법을 차별화할 필요성이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erational differences on the impact of intra-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n organizational fairness among members of public enterpris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erception of fairness that individuals feel is relevant to communic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It was found that horizontal information sharing (H-I), vertical (bottom-up) communication of presentation and proposal (V-S), and social-relational communication (V-CU, etc.) had a positive effect on fairness perception. Even for communication with the same purpose, the effects varied by generation. In the 40s,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a reinforcement and reduction effect in vertical consideration and understanding (effect reinforcement control), horizontal exchange, and empathy communication (effect reduction control). In the thirties, communication became less effective. Based on these results, it seems that there is a need to differentiate the approach of communic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by recognizing the generational differences in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level of the current public organiza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모형, 연구자료 및 분석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