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873433.jpg
KCI등재 학술저널

일 종합병원의 항암제 취급 간호사의 항암제 안전관리 교육요구도

본 연구는 항암제를 다루는 간호사의 항암제 안전관리에 대한 지식과 이행, 중요도를 파악하고 항암제안전간호 교육요구도를 확인하여 항암제 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하고자 수행된 서술적조사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C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225명의 간호사로 자료수집 기간은 2021년 5월26일에서 6월 20일이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Borich요구도 분석 및 Locus Focus Model을 활용하여분석하였다. 항암제 안전관리에 대한 교육요구도의 우선순위는 항암제 노출에 대한 응급대처, 항암제취급 부서 환경관리, 안전한 항암제 투약, 항암제 투여 환자의 혈액 및 배설물 관리, 항암제 안전교육, 개인보호장구 영역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간호사들을 위한 항암제 안전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기초자료를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육요구도 우선순위가 높은 항목을 참조하여 항암제를 취급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항암제 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을개발하고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clinical nurses’ educational needs for safe anticancer drug management.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involving 225 clinical nurses who responded to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from May 26 to June 20, 2021. Descriptive statistics, a paired t-test, and demand analysis utilizing Borich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used to evaluate the data. As a results, the categories with the highest priority were “coping with exposure to anticancer drugs,” “environmental control of the handling of anticancer drugs,” “safe administration of an anticancer drug,” “handling of patients’ blood, body fluids, and excretion,” “fulfilling education on the safe management of anticancer drugs,” and “us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hese findings will help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for clinical nurses who deal with anticancer drugs. Future studies should concentrate on developing and evaluating a program for the safe management of anticancer drug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