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노년교육연구  Vol. 9 No. 1.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령자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Awareness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r the elderly: Focusing on education practitioners of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DOI : 10.31748/KSEG.2023.9.1.1
  • 525

본 연구는 고령자학습자 대상 교육 운영 경험이 있는 현장 실무자를 대상으로 고령자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정책적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D자치구 평생학습기관 및 단체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실무자 8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고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개방코딩을 활용하여 개념을 도출하였고, 도출한 개념은 다양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교육지원, 수준별 맞춤형 교육의 필요성 증가, 학습기본권 실현을 지향, 무한한 교육의 효용성,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본적 토대로 범주화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교육에 있어 세대별 계층화를 고려, 디지털 시민성 및 전문적 직업교육 영역을 포함, 변화된 삶의 적극적 참여를 위한 교육관점 구축, 학습동아리 형태의 교육지원, 기초문해교육패러다임의 전환이라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r the elderly and to examine policy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To this end, 8 practitioners in charge of education at a local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e concept was derived through open coding, and it was categorized as a basis for differentiated educational support considering diversity, increasing need for education by level, realization of basic learning rights, infinite usefulness of education, and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nsidering the stratification by generation, policy implications of establishing an educational perspective for active participation in a changed life, including digital citizenship and professional vocational education, educational support in the form of learning clubs, and a shift in the basic literacy education paradigm were suggest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시사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