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동유럽발칸연구 제47권 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Re)Tasking Literacy for The Digital Age

(Re)Tasking Literacy for The Digital Age

DOI : 10.19170/eebs.2023.47.2.91
  • 56

문해력이라는 개념은 현상의 역사적 진화에 걸쳐 추적되며, 특히 그 적용의 평면과 양식에 특별한 강조를 둔다. 여기서 검토되는 주요 관점은 다음과 같다: 1)인지적 관점 2)문화/사회적 관점 3)수사적 관점. 디지털 문해력(디지털 기술에 대한 이해와 활용 능력)의 개념에 초점을 맞추면서, 이 논문은 시각 판단 능력, 미디어 정보 해독력, 읽기 능력, 구 술 능력에 관련된 개념 또한 검토한다. 크레스, 시토윅, 메이로위츠, 마노 비치, 야콥슨, 옹 등의 연구에 기반한 핵심 전제를 검토하고 수정하여 현대 디지털 맥락에서 적용 가능한 리터러시의 의미에 대해 서로 다르면 서도 상호 보완적인 관점을 제시한다.

The notion of literacy is traced across the historical evolution of the phenomenon, and special emphasis is placed on the planes and modalities of its application. The key perspectives hereby examined are the following: 1) cognitive perspective, 2) cultural/social perspective, and 3) rhetorical perspective. While primarily focusing on the notion of digital literacy, the paper also examines the relatable notions of visual literacy, media literacy, reading literacy, and orality. The key premises, leaning on the works of Kress, Cytowic, Meyrowitz, Manovich, Jakobson, Ong, etc. are examined, revised, and used to offer different yet complementary perspectives on the meaning(s) of literacy applicable in the contemporary digital context.

1. From Stone to the Screen

2. Understanding Visuality, Multimodality, and Synaesthesia

3. Understanding Situational Geography, Identity, and Veracity

4. Rhetoric, Literacy, and Orality

5. The Issue of Functionality. Re/tasking Literacy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