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수학 학습의 정의적 영역에서 메타-정의의 개념을 구체화하고 명확히 하기 위해 메타-정의의 유형을 구분하고, 실제 사례를 보여주었다. 메타-정의는 정의의 모니터링, 감정의 평가, 감정의 조절, 정의의 활용 4가지로 구분되었고, 모니터링 후 평가, 조절, 활용이 시간적 순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감정을 평가하고 조절하는 데 수학과 수학 학습에 대한 신념이 중요한 잣대로 작용하였으며, 메타-정의는 정의를 조절하고 학습 전략을 선정하는 등 수학 학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Students experience various affects in solving mathematical problem and learning mathematics. Focusing on meta-affect in affective domain, we explored the types of meta-affect. Our research provides illustrative examples and analysis of meta-affect during solving problem. As a result, meta-affect has four types i.e. monitoring of affect, evaluation of emotion, control of emotion, and utilization of affect. And meta-affect is a main key to decide how to handle affect and influence student's cognitive strategies and affe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메타-정의의 유형
Ⅳ. 메타-정의 유형별 사례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