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주제 중심의 수학교과서를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여 차후 수학교과서 개발에 유의미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다학문적(multi-disciplinary), 간학문적(inter-disciplinary), 탈학문적(extra-disciplinary) 융합의 형태로, ‘건강한 삶’, ‘지속가능한 삶’, ‘더불어 사는 삶’이라는 주제 중심의 수학교과서를 개발하였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각 주제별 2개 반, 총 6반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건강한 삶’, ‘지속가능한 삶’ 주제는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의 성취도 평균이 높았으나 ‘더불어 사는 삶’ 주제는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의 성취도 평균이 낮았다. 반면 주제 중심 문항 점수의 경우, ‘건강한 삶’, ‘지속가능한 삶’에서는 실험반의 점수가 비교반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으나 ‘더불어 사는 삶’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수학 태도 검사 결과는 세 주제에서 사전, 사후 모두 실험반의 평균이 비교반보다 높았다. 그리고 주제 중심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를 정규교육과정에 포함시키려는 노력, 교사를 위한 자료의 제공, 융통성 있는 사용 등을 위한 연구가 지속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s a thematic approach, to suggest meaningful directions to future textbook development and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is study, we suggested mathematics textbooks of the three-themes, ‘Healthy Life’, ‘Sustainable Life’, ‘Living-together Life’, as multi-disciplinary, inter-disciplinary, and extra-disciplinary types. With the problems that employed thematic approaches, the post-achievement scores of experimental groups who used ‘Healthy Life’ and ‘Sustainable Life’ textbooks were meaningful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s. However, the post-achievement scores of experimental groups who used ‘Living-together Life’ textbook were not meaningful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s. The attitudes towards mathematics of all three experimental groups were meaningful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s. After applications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s a thematic approach, we need to develop related materials, to consider various grades, levels, regions for developing better mathematics textbooks.
Ⅰ. 도입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추진전략 및 방법
Ⅳ. 주제 중심의 초등 수학교과서 개발의 실제
Ⅴ. 주제 중심의 초등 수학교과서의 적용 및 효과성 검증
Ⅵ.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