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표본 지도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Teaching Sample: An Analysis of Foreign Curriculum

  • 20
대한수학교육학회-학교수학a.jpg

통계 교육에서 표본(sample)과 표집(sampling)은 통계적으로 올바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강조되어야하는 개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표본과 표집 개념을 어떻게 지도하는지에 관해서는 충분히 연구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표본과 관련된 지도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국외 교육과정 및 지도 사례를 중심으로 표본이 어떻게 지도되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표본 개념의 두 요소인 표본대표성(sample representativeness)과 표집변이성(sampling variability)을 중심으로, 호주, 뉴질랜드, 영국, 미국의 교육과정을 분석했다. 또한 외국 교과서와 선행 연구의 표본 지도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표본 지도에 관하여 첫째, 자료수집, 분석, 결과 해석이라는 통계적 탐구과정의 경험과 함께 지도하고, 둘째, 현재 지도시기보다 빨리 지도하고, 셋째, 표본대표성 뿐만 아니라 표집변이성을 고려하여 지도하고, 넷째, 효과적인 지도를 위해 공학 도구를 활용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concepts of sample and sampling are central to make a statistically correct decision, so we need to be emphasized their importance in the statistics education. Nevertheless, there were not enough studies which discuss how to teach the concepts of sample and sampling. In this study, teaching sample and sampling is addressed by foreign curricula and cases of instruction in order to obtain suggestions for teaching sample and sampling. In particular, the curricular of Australia, New Zealand, England and the United States are analyzed, considering the sample representativeness and the sampling variability; the two elements in the concept of sample. Also foreign textbooks and cases of instruction when it comes to teach sample are analyzed. The results say that with respect to teach sample can be divided into four suggestions: first, sample was taught in the process of statistical inquiry such as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results. Second, sample was introduced earlier than Korea curriculum. Third, when it comes to teach sample, sample representativeness, as well as sample variability were considered. Fourth, technological tools were used to enhance understanding sample.

Ⅰ. 도입

Ⅱ. 이론적 배경

Ⅲ. 국외 통계 교육과정

Ⅳ. 국외 통계 지도 사례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