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수학 문제 해결 과정에서 학생들의 감정 변화에 대한 사례 연구

The Variation of Emotion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 10
대한수학교육학회-수학교육학연구.jpg

수학 교육에서 문제 해결에 대한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정의적 측면에서 문제 해결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감정이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생들은 문제를 해결하는 동안 여러 차례의 감정 변화를 경험했고, 긍정과 부정의 감정이 공존해서 나타났다. 둘째, 같은 문제를 동일한 풀이 방법으로 해결하였지만 감정 변화가 다른 이유는 학생의 수학 문제해결에 대한 신념과 겉보기 난이도 때문이었다. 셋째, 학생이 문제 해결에서 긍정이나 부정의 감정을 느끼는 것은 수학적 태도와 관련이 있었다. 넷째, 학생들은 문제에 대한 겉보기 난이도가 ‘상’일 때 ‘하’보다 부정적 감정을 많이 경험했지만 문제 해결 후 성취감은 더 컸다.

The importance of problem solving in mathematics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and many studies related to this issue have been conducted. But, studies of problem solving in the aspect of affect domain are lacked. This study found the changing pattern of emotions that occur in process of a problem solving. The results are listed below. First, students experienced a lot of change of emotions and had a positive emotion as well as negative emotion during solving problems. Second, students who solved same problems through same methods experienced different change patterns of emotions. The reason is that students have different mathematical beliefs and think differently about a difficulty level of problem. Third, whether students solved problems with positive emotion or negative emotion depends on their attitude of mathematics. Fourth, students who thought that a difficulty level of problem was relatively high experienced more negative affect than students who think a difficulty level of problem is low experienc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1〉 중학교 문제 예시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