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기록관리학회지 제23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영미권 국립보존기록관 인스타그램의 기록정보콘텐츠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the National Archives Instagram Archival Content in the Anglosphere

DOI : 10.14404/JKSARM.2023.23.2.001
  • 92

본 연구의 목적은 영미권 국립보존기록관 인스타그램의 기록정보콘텐츠 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기록물관리기관에서의 기록정보콘텐츠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 위해 연구 대상 인스타그램의 개설일 콘텐츠 수 팔로워 및 팔로잉 수 등 기본현황을, , 조사하였으며 팔로워와 해시태그 이용자 호응도가 높은 콘텐츠의 내용과 상호작용 유형, ,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스타그램을 활용한 기록정보서비스의 확산을 위해서는 모바 ., 일 기반 라는 인스타그램의 특성에 맞게 모바일 화면을 통해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SNS 있는 이미지와 숏폼 콘텐츠를 제작해야 하고 주 이용자층의 관심을 끌고 다른 이용자와, 공유하며 관계를 형성할 만한 정보적 소통 목적의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또한 웹사이트 ., 유튜브 블로그 등 기관이 보유한 기존 온라인 자원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해시태그의 활용, , 유관기관 계정에 대한 팔로잉 팔로워와 콘텐츠 댓글에 대한 피드백 등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여 기관 인스타그램 계정의 노출 및 검색 가능성을 높여야 한다 본 연구는 인스타그 . 램을 대상으로 기록정보콘텐츠 사례를 연구하고 적용 사항을 제안하였다는 의의가 있으며, 기록 문화 확산을 위한 기록정보콘텐츠의 기획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rchival content of archives management institutions in Korea by analyzing cases of the archival content on Instagram of the national archives in the Anglosphere.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research target’s Instagram account, including the creation date, content, and the number of followers, was investigated, and the posts’ contents and interaction types with high user responses were analyzed. As a result, to spread the records information service using Instagram, producing images and short-form content that can be intuitively checked through mobile screens and creating content that will attract the attention of primary users are required. Moreo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tent for informative communications that can be shared with other users. There is also a need to enhance the exposure and searchability of the institution’s Instagram account by strengthening connections with the institution’s existing online resources and enabling communications, such as using hashtags, following related institutional accounts, and providing feedback on the contents’ comments with follow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cases of archival content for Instagram and suggested their applications, and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help plan archival contents to spread the archival culture.

1. 서론

2. SNS의 발달 과정과 인스타그램

3. 인스타그램을 활용한 기록정보콘텐츠 사례 분석

4. 시사점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