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제14권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태권도 선수의 객관적/주관적 수행력이 지도자의 코칭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선수 수행력이 지도자의 코칭행동 변화를 예측하는 독립변수로 가정한 후, 성별에 따른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태권도 선수 474명(여=1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질문지의 구성타당도와신뢰도검사를 살펴보았다. 참여자의 기본심리욕구는 통제변수로 사용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성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단순기울기분석을 실시하여 조절효과의 방향성을 확인하였다. 선수의 수행력은 최근 1년 입상 유· 무와 횟수로 측정한 객관적 수행력과 인지된 경기력 질문지를 측정한 주관적 수행력으로 각각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객관적 수행력이 높은 남자선수는 여자선수보다 자율성지지 코칭행동은 증가되었고, 통제적 코칭행동은 감소되었다. 이와 달리 주관적 수행력이 높은 여자선수들은 남자선수보다 자율성지지 코칭행동이 증가되었고, 통제적 코칭행동은감소되었다. 객관적 수행력과 주관적 수행력에 따라 상반된 결과가 도출된 이유에 대해서 심도 있게 논하였다. 본연구를 통해 선수의 수행력이 지도자의 코칭행동 변화를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between actual/subjective performance and coaching behaviors. A total of 474 Taekwondo athlete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nd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verified for questionnaires used in this stud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verify proposed research hypothesis. Athlete's performance was measured by the actual tournament wins in the recent years and also subjective performance measured by the perceived performance questionnaire. The athletes with more tournament awards, Male player showed higher level of autonomy supportive coaching behavior than female athletes. However, female athletes with higher perceived performance showed autonomy supportive coaching behavior compared to male athletes. on discussion section, changes in coaching behaviors according to actual performance and perceived performance according to gender were discussed in depth.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