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제14권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남자 축구선수의 심리적 요인이 경기몰입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선수의 심리적 요인이 경기몰입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축구선수를 모집단으로 최종 225부의 설문을 이용하였다. 설문 자료는 SPSS WIN 24.0 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수의 심리적 요인과 경기몰입의 관심집중은 긍정적 사고·자기의지 순으로, 경기가치는 긍정적 사고, 역할인지는 긍정적 사고·이타성·자기의지 순으로, 플레이 통제는 긍정적 사고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기몰입과 경기력의 출전자세는 플레이 통제·관심집중·역할인지 순으로, 선수역량은 역할인지·플레이 통제·경기가치 순으로, 팀워크는 플레이 통제·역할인지 순으로, 자신감은 플레이 통제·역할인지 순으로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요인과 경기력의 출전자세는 긍정적 사고·자기의지 순으로, 선수역량은자기의지·긍정적 사고의 순으로, 팀워크는 이타성·자기의지 순으로, 자신감은 자기의지·긍정적 사고의 순으로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축구선수의 경기력 향상과 최상 경기력을 위해서는 지도자들은 선수의 심리적요인에 따른 맞춤형 지도 관리와 경기몰입을 위하여 선수 개인적 특성 적용 및 신뢰를 지지해야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psychological effect of soccer, which uses psychological factors, game immersion, and performanc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soccer players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e study. The results revealed b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soccer players partial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game immersion. Second, soccer players' game immersion had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performance. Third,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soccer players had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 performance. In conclusion, the finding of this study was that customized guidance management according to psychological factors was required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should be applied for immersion in a game. And trust and support was needed so that player can focus on the game.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