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자기불일치와 관련 변인 간의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자기불일치와 관련 변인 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교육 및 상담의 실제에서 보다 효과적인 정신건강 중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자기불일치’를 키워드로 1987년부터 2022년 상반기까지 발표된 연구물 중 선정 기준에 적합한 197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연도별, 연구대상별, 연구방법별, 측정도구별, 자기불일치 유형별, 관련 변인별 특성으로 나타내었다. 첫째, 연도별 논문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였고, 최근 10년간 급증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은 성인의 비율이 절반을 넘었고, 학령기 학생들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셋째, 연구방법은 양적연구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고, 경로분석과 회귀분석 빈도가 높았다. 넷째, 자기불일치 측정 도구는 Higgins, Klein과 Strauman(1985)가 개발하고 서수균(1996)이 재구성한 ‘자기질문지’가 가장 높은 비율로 사용되었다. 다섯째, 연구설계는 자기불일치를 독립변인으로 설계한 논문이 절반 이상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여섯째, 국내 연구에서는 자기불일치의 총 6개 유형 중 1개 유형만을 변인으로 설정한 경우가 많았고, 실제(자신)-이상(자신) 유형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일곱째, Higgins(1987)가 자기불일치 이론에서 제시한 자기불일치 유형과 우울 및 불안 간의 차별적인 연관성은 통일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서 자기불일치 개념을 적용함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변인, 측정도구, 상담 및 교육의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n research trends on self-discrepancy and related variables and systemat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related variables. Through this, the study aims to propose more effective mental health interventions in education and counseling practices. For this study, 197 papers from major Korean academic databases from 1987 to the first half of 2022 were analyzed using the keyword “self-discrepancy”. The research results were examined by year, subject, research method, measurement tool, and type of self-discrepancy.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 the number of papers has steadily increased by year, and there has been a steep increase over the past 10 years. Second, regarding research participants, the proportion of adults exceeded half, and the propor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as relatively small. Third, regarding research methods, the propor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was overwhelmingly high, and path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s of analysis. Fourth, the Selves Questionnaire developed by Higgins et al. (1985) and reconstructed by Seo (1996)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measurement tool for self-discrepancy. Fifth, regarding research design, the highest percentage of research designed self-discrepancy as an independent variable. Sixth, of the six types of self-discrepancy suggested by Higgins (1987), over 90% of the studies used only one or two types of self-discrepancy, with the actual/own versus ideal/own discrepancy type being the most frequently used. Seventh, the differential association between self-discrepancy type and depression and anxiety presented by Higgins' (1987) theory did not show a unified resul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variables, measurement tools, and methods to consider for future studies applying the concept of self-discrepancy and implic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counseling and education were proposed.
Ⅰ. 서론
Ⅱ.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