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1-3차년도 중학생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무기력, 학업성취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무기력, 학업성취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정적인지, 이전 시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무기력, 학업성취 수준이 이후 시점의 각 변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학교 1학년 시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무기력, 학업성취는 중학교 2, 3학년 시점까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둘째, 이전 시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이후 시점의 학업무기력을 부적으로 예측하였고, 학업성취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이전 시점의 학업무기력은 이후 시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넷째, 이전 시점의 학업성취는 이후 시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반면, 학업무기력은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학업무기력을 해소하기 위한 예방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중재하는 방안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longitudinal interrelationships among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helpless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data from the 1st-3rd wave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By apply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helpless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are seen to be stable over time, and the level of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helpless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at the previous time point are verified to affect each variable at the later time point. As a result, first,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helpless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at the time of the first year remained stable until the second and third year of middle school. Second, academic self-efficacy at the previous time negatively predicted academic helplessness at the later time and positively predicted academic achievement. Third, academic helplessness at the previous time predicted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at the later time negatively. Fourth, while academic achievement at a previous time point positively predicted academic self-efficacy at a later time point, it was found that academic helplessness 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academic self-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academic self-efficacy intervention program is needed as a preventive measure to resolve academic helplessness in middle school studen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