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수학교육에서 상보성

Complementarity in Mathematics Education

  • 2
대한수학교육학회-수학교육학연구.jpg

그동안 수학교육에서는 상보성, 상보적 원리, 상보적 접근이라는 말이 자주 사용되어 왔으나 그 의미가 분명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수학적 지식의 상보적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그 의미를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먼저 일반적인 상보성의의미를 살펴보고, 통약불가능성과 제논의 역설을 통해 수학적 개념의 상보적 특징을 고찰하도록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수학에서 상보적인 접근을 고찰하였다. 학교수학에서 수학적 개념에 대한 상보적 특성을 이해하고 드러내는 것은 그 개념에대한 통찰을 가능하게 하고 명확하고 올바로 이해하게 한다. 따라서 학생들은 단편적인 정보와 규칙의 기계적인 적용이 아닌 살아있는 체계로서 수학의 이미지를 가질 수 있다.

Complementarity, complementary principle and complementary approach have been often used in school mathematics but its meaning has not been obvious. Thus this paper tries to make explicit the meaning by looking around complementary characteristic of mathematical knowledge. First of all, we examines the general meaning of complementarity and investigate complementary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concepts through incommensurability and zeno's paradox. From this, complementary approach to school mathematics is studied. To understand and uncover complementary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concepts make it possible for student to have an insight. I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students can have an image of mathematics as a living system rather than as a mechanical application of rules and fragmentary informations.

Ⅰ. 서론

Ⅱ. 상보성

Ⅲ. 산술과 기하 사이의 상보성: 통약불가능성

Ⅳ. 이산과 연속 사이의 상보성: 제논의 역설

Ⅴ. 학교수학에서의 상보성

Ⅵ. 맺음말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