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초경쟁 환경에서 기업의 친사회환경적 역할이 더욱 증가하고 있으며 많은 기업들이 친사회환경적인 측면에서 좋은 평판을 얻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처럼 급증하는 기업 활동과 비교해 구성원 관리, 즉 매니지먼트 측면에서의 ESG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본 연구는 시그널링 이론과 조직 평판 논의들에 기반하여 조직 평판 시그널로서의 ESG 성과가 구성원들의 인지와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즉, 조직의 ESG 성과가 구성원들의 인지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ESG 성과 인지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구성원의 도구성 인지가 갖는 조절 효과를 분석하였다. 다수준 분석을 위하여 조직의 평판을 외부 자료를 통하여 확보하였고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각 기업 구성원들에 대한 인지 및 태도 변수들을 측정하였다. 총 31개 기업의 987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MPlus 다수준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들을 발견하였다. 우선, 기업의 ESG 평판은 구성원들의 이직 의도를 줄이는 효과가 있었으며, 그 과정에서 ESG 활동 인지도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다. ESG 성과에서 좋은 평가를 받는 조직의 구성원들이 회사의 ESG 활동에 대하여 더 잘 인지하였으며, 구성원의 ESG인지가 높아질수록 그들의 이직 의도가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도구성 인지의 조절 효과도 지지되었는데, 구성원들이 조직의 성장과 생존에 조직 평판이 도구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할수록 ESG 활동 인지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효과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 수준에서의 시그널링 이론과 평판 논의가 이직 의도와 같은 개인 수준에서의 태도를 설명하는 데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이론적 기여 및 실무적 시사점이 제시되고 있다.
As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role of the corporation in society has been emphasized, many firms have sought to achieve good social and environmental reputations. Based on signaling theory and organizational reputation literature, this study examines how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ment) reputations function as an important signal that reduces employees’ turnover intentions. Additionally, a mediating role in employees’ reputation awareness and a moderating role in their reputation instrumentality perception are further investigated. For the study, we collected organizational reputation information from a secondary source and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987 employees from 31 companies. By analyzing a multilevel model using MPlus software, we found strong support for our hypotheses. The ESG reputation of a company reduced its employees’ turnover intentions and employees’ awareness of their company’s ESG behaviors mediated the relationship. In addition, we found that employees’ beliefs in the importance of ESG behaviors on the long-term survival of their company, that is, ESG reputation instrumentality, positively moderated the mediation relationshi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ignaling theory and organizational reputation literature at the organizational level can be consistently applied to employees at the individual level. We also discuss the theoretical contribu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study.
Ⅰ. 서론
Ⅱ. 논의의 배경 및 가설의 설정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토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