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인문사회과학연구 제24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경기도 공립박물관과 공공가치 창출

Gyeonggi Province’s Local Museums and Public Value Creation

  • 140

1990년대 이후 여러 국가에서 소위 “박물관의 붐”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한국도 예외는 아니었다. 특히 공립박물관의 급격한 증가는 지역 고유의 과거와 문화 재현, 지역 정체성의 확립, 지역공동체 활성화, 지역산업의 홍보, 관광객 유치 등 지역의 다양한 사회・경제적인 공공가치(public value) 실현을 위해 지역박물관을 경쟁적으로 건립하고자 한 지방자치단체들의 열망이 표출된 산물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한국의 지역 공립박물관은 어떠한 공공가치를 추구하며, 그러한 가치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본 연구는 1996년부터 2022년까지 경기도에서 설립・운영된 55개의 공립박물관이 창출하고자 한 공공가치와 그 시간적 변화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Mark Moore의 공공가치 창출(public value creation) 개념과 기존 문헌을 바탕으로 공공조직으로서 지역 공립박물관이 추구하는 공공가치를 지역 정체성 재구성과 지역경제 활성화로 나누어 살펴본다. 먼저, 지역 정체성 재구성이라는 공공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박물관의 노력을 시공간적 지향성, 전시주제의 속성과 복합성으로 나눠 살펴본다. 다음으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 공립박물관이 지역산업과 전시를 어떻게 연계하는지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경기도 내 공립박물관의 다수가 시간적 지향은 과거지향형이지만, 공간적 지향은 지역내향형과 지역외향형 공립박물관의 수가 유사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공간적 지향성을 교차분석하였을 때, 다른 유형에 비해 과거지향형과 지역내향형이 결합된 공공박물관이 가장 많이 설립・운영되었다. 전시주제의 경우, 향토문화를 주제로 한 공립박물관이 다수였으며, 복합테마형보다는 단일테마형 공립박물관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역산업과의 연계를 통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함으로써 공립박물관에 대한 지역민의 지지와 정당성을 획득하려는 시도는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적 제도로서 공립박물관이 창출하고자 하는 공공가치와 그 변화를 시계열적으로 추적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1990s witnessed “the museum boom” in many countries and South Korea was no exception. Especially, the number of public museums grew dramatically, which may reflect local governments’ desire to create public values by establishing public museums that help shape local identities, build more culturally vibrant communities, and promote local business and tourism. What local public values are public museums to promote and how these values change over time? This study analyzes 55 public museums in Gyeonggi Province and investigates public values that these museums are to create from 1996 to 2022. Specifically, this study, based on the concept of public value creation by Moore and prior works, emphasizes two public values such as reconstruction of local identities and re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as what local public museums aim to create. As for reconstruction of local identities, the efforts of local public museums are divided into three: temporal and spatial orientation, main themes of display, and their complexities. As for re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it is analyzed if local industries are linked with themes of display. The results show that most local public museums focus on past cultural heritages in their local areas with single themes. Meanwhile, it is found that only a small number of museums try to link with local industries as efforts to enhance legitimacy and supports from local resident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investigating what public values local public museums in Gyeonggi Province as social institutions aim to create and their changes over time.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검토

Ⅲ. 공립박물관과 공공가치 창출: 분석틀

Ⅳ. 경기도 공립박물관의 공공가치 추구 유형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