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문화와 융합 제45권 5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AI 기반 챗봇 한국어 텍스트의 자연어 분석 및 한국어 교육 활용 모색

Natural Language Analysis of Korean Texts of AI-based Chatbots and Exploration of Korean Education Utilization: Focusing on ChatGPT and New-Bing

DOI : 10.33645/cnc.2023.05.45.05.01
  • 3,001

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은 데이터와 컴퓨팅의 집합 덕분에 새로운 단계에 이르렀다. 특히 AI 기반 챗봇 시스템은 자연어 처리, 머신러닝, 딥러닝, 규칙 기반 시스템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인간과 대화하는 대화형 구조를 구축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대표적인 현대 AI 기반 챗봇인 챗GPT(ChatGPT)와 뉴빙(New-Bing)을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한다. 이를 위해 두 가지 모델을 사용하여 텍스트 형태로 답변을 추출하고, 자연어 처리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어 텍스트 전처리 단계를 진행하였다. 그 다음, FastText를 이용해 텍스트 간의 유사도를 계산하고 추출된 고빈도 단어 간의 유사도 값의 신뢰성을 검증하는 과정을 거쳤다. 최종 목표는 AI 기반 챗봇이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의 활용 분야를 설명하고, 올바르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예시를 제시하는 것이다. 앞으로 AI 기술의 발전과 다양한 활용 방향을 고려하면, 아직 개발되지 않은 한국어 전용 챗봇은 텍스트 대화뿐만 아니라 음성 인식 기능까지 확장되어 한국어 교육의 많은 부분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recent advance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technology has reached a new phase, thanks to the convergence of data and computing. In particular, AI-based chatbot systems are constructing interactive structures for conversation with humans by utilizing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Natural Language Processing(NLP), Machine Learning, Deep Learning, and rule-based systems. This paper verifies the potential of the representative modern AI-based chatbots, ChatGPT and New-Bing,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To this end, responses were extracted in text form using the two models, and the preprocessing steps of Korean text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NLP process. Subsequently, text similarity was calculated using FastText, and a process was undergone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similarity values between extracted high-frequency words. The ultimate goal is to describe the applications of AI-based chatbots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and to provide examples of their correct and efficient use. Considering the future advancement of AI technology and various directions for its application, it is anticipated that the yet-to-be-developed Korean-specific chatbots will not only offer text conversation but also extend to voice recognition features, and thus be applicable to many aspects of Korean education.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한국어 텍스트의 자연어 분석 및 유사도 측정

4. 한국어 교육 활용 모색

5. 결론 및 한계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