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고등학교 기하 수업의 교수⋅학습 자료 개발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a for a High School Geometry Class: Focusing on process-centered assessment

  • 10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0호.jpg

목적 본 연구는 과정 중심 평가를 활용하여 기하 수업의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적용하며 고등학교 수업에서 과정 중심 평가를 실행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과정 중심 평가를 활용한 기하 수업의 교수⋅학습 자료는 ADDIE 모형의 단계에 따라 과정 중심 평가 선행연구와 교육과정의 교과 역량 분석을 토대로 설계되었다. 또한, 수업 후 일회적 평가 자료가 아닌 모든 수업시간에 지속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기하 전 범위를 대상으로 개발되었다. 서울시 E고등학교 3학년 96명의 학생에게 적용되었으며, 학생들이 작성한 평가지와 설문 조사, 면담자료를 통해 개발된 자료를 평가하였다. 결과 기하 수업의 교수⋅학습 자료는 과정 중심 평가를 실행하기 위한 3가지 조건(과제, 상호작용, 피드백)을 고려하여 설계하였으며, 총 30개의 과정 중심 평가지를 개발하였다. 평가지를 이용하여 수업을 운영하며, 과정 중심 평가 결과를 피드백 할 수 있는 수업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 성취기준과 문제해결 역량을 고려하여 설계된 과정 중심 평가를 통해 교사는 학생의 학습 과정 및 상태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학생들은 문제해결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상호작용과 피드백을 활발하게 진행되어 수업 분위기 개선에 효과가 있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geometry class using process-centered assessment and to explore ways to implement process-centered assessment in high school classes. Method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geometry class using process-centered assessment were design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process-centered assessment and analysis of curriculum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steps of the ADDIE model. In addition, the materials were developed for the entire scope of geometry so that they can be continuously assessed in all class periods, not as a one-time assessment after class. It was applied to 96 students in the third grade of E High School in Seoul, Korea, and the developed materials were evaluated through student evaluations, surveys, and interviews. Results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geometry class were designed considering the three conditions (task, interaction, and feedback) for implementing process-centered assessment, and a total of 30 process-centered assessments were developed. A total of 30 process-oriented assessments were developed, and a method for feedback on the results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s was presented. Conclusions Through the process-centered assessment designed considering achievement standards and problem-solving capabilities, teachers were able to observe students' learning process and status, and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to problem-solving. In addition, interaction and feedback were actively carried out, which was effective in improving classroom atmosphere.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탐색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