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Brand and Manufacturer Countries of Origin on Brand Equity: A case of the iPhone brand in South Korea

브랜드원산지와 제조원산지가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 소비자의 아이폰 브랜드 인식

  • 7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jpg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브랜드 원산지, 제조 원산지(국가 제품 이미지, 국가 카테고리 이미지)가 브랜드 자산(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 이미지와 원산지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한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구체적으로 논의를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소비자가 인식한 브랜드 원산지(미국)는 브랜드 이미지에 제조 원산지(중국)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인식한 브랜드 원산지(미국)는 브랜드 이미지에 제조 원산지(중국)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브랜드 품질은 브랜드 원산지(미국)에 비해 제조 원산지(중국)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원산지를 분류한 기준인 국가 제품 이미지, 국가 카테고리 이미지 중 국가 카테고리 이미지가 브랜드 자산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을 검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O of Brand and COO of Manufacture on brand equity (brand image, brand quality) according to Product Country Image and Category Country Image, and to find out how consumers influence brand equity (brand image, brand quality) due to high and low Country Image. The country of origin is classified into a Product Country Image and a Category Country Image, and brand equity is classified into brand image and brand qua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Korean consumers in their 20s and 50s who have purchased or used iPhones. iPhone was selected as a research target product considering market penetration rate and consumer familiarity.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marketing strategies by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brand equity according to COO of Brand and COO of Manufacture of iPhone in the U.S. and manufacturing country of iPhone. In addition,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concept of Product Country Image and Category Country Image can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oretical knowledge in the field of Country Image research.

I. Introduction

II. Literature review

III. Hypotheses and research mdoel

IV. Research Method

V. Results

VI. Conclusion and Implications

Referenc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