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jpg
KCI등재 학술저널

직장 FOMO와 프리젠티즘이 직장 내 배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orkplace FOMO and Presenteeism on Workplace Ostracism

  • 106

최근 조직이 추구하는 생산성의 극대화와 구성원의 안녕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직장 내 배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 FOMO와 프리젠티즘이 직장 내 배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수도권 국내기업의 5인 이상 부서에서 근무하는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자료가 수집되었다. 온라인 응답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응답 완료된 498개 중에서 169개의 불성실한 응답 사례를 제외하고 최종 329개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 결과, 프리젠티즘의 하위요인 가운데 생산성 손실(β=.153, p<.001)이 직장 내 배척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장 FOMO의 하위요인 중에서 정보배제로 인한 걱정(β=.290, p<.001)이 집중력 저하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의 생산성 손실을 방지하고, 개인의 안녕을 유지하기 위해 프리젠티즘 방지를 위한 제도적 유연성의 확보와 근로자의 인식 개선을 위한 노력의 필요성을 시사해 준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workplace FOMO, presenteeism & workplace ostracism as factors of impeding productivity and wellbe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workplace FOMO and presenteeism on workplace ostracism. In all, 498 respondents, work in offices filled out the survey, 329 data were analyzed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 sub factor of presenteeism, productivity los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workplace ostracism(β= .153, p<.001), and workplace FOMO(informational exclusion) leaded to avoiding distraction(β= .290, p<.001).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was a need to reduce the presenteeism negative effects for maximizing of productivity and enhancing wellbeing of member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모형 및 조사 설계

Ⅳ. 실증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