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형태론 25권 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어휘 등급의 검증 방안 연구

A Study on Verification Methods of Vocabulary Grade

DOI : 10.51157/kmor.2023.25.1.57
  • 237

본 연구는 학교교육의 체계적인 어휘 교수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교육용 어휘를 선정하여 등급화한 '어휘 등급화 목록'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새로운 방안을 설계하여 검증을 실행하였다. 검증 방안으로는 다음의 양방향 방안을 고안하였다. 첫째, 학교교육을 넘어서는 언어생활로의 확산적 방안으로, 검증 대상 어휘 등급이 학교교육보다 넓은 세계의 일반적인 언어생활을 적절하게 반영하는 등급인지를 확인하여 타당성을 검증하는 방안이다. 이 방안의 실행을 위하여 새로운 기초 자료인 대규모 말뭉치로부터 추출된 어휘 위계를 설정하고 어휘 등급과 비교 분석하는 방법을 설계하였다. 둘째, 어휘 등급의 교육적 목적을 보다 초점화하여 학교교육의 구체적인 교수학습적 측면을 설명할 수 있는 등급인지를 확인함으로써 타당성을 검증하는 수렴적 방안이다. 이 방안의 실행을 위해서는 여러 교과의 교과서 텍스트 수준과의 연계 정도를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밝히는 방법을 설계하였다. 검증 결과, 검증 대상의 어휘 등급은 대규모 말뭉치에 기반하여 추출된 어휘 위계 및 교과 텍스트 이독성 평정 수준에 상당히 부합하되, 특히 낮은 등급의 쉬운 어휘에서 높은 일치도를 나타내는 경향성을 보였고, 검증 결과 지표가 양호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안에서 상호 유사성을 보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검증 방안이 일정 부분 유효함을 확인하였으며, 어휘 등급화 목록의 보완 방향을 일관성 있게 알려준다는 점에서 유용한 검증 결과였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탐색한 어휘 등급 검증 방안은 어휘 등급 설정과 등급 검증의 실증성을 향상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In this study, a new method was designed and verifi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vocabulary grading list', which selected and graded educational vocabulary to support systematic vocabulary teaching and learning in school education. As a verification method, the following two-way method was devised. First, as a way to expand language life beyond school education, it is a way to verify validity by checking whether the vocabulary grade to be verified is a level that appropriately reflects general language life in the wider world than school education. To implement this plan, a hierarchy of vocabulary extracted from a large-scale corpus, which is a new basic data, was set up and a method of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grade of this study was designed. Second, it is a convergent method to verify the validity by focusing more on the educational purpose of the vocabulary grade and checking whether it is a level that can explain specific teaching-learning aspects of school education. To implement this plan, a method was designed to reveal the degree of linkage with textbook text readability levels of various subjects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the vocabulary grade of this study was quite consistent with the lexical hierarchy extracted based on the large-scale corpus and the level of readability evaluation of textbook texts, but showed a tendency to show a high degree of concordance, especially in low-level easy vocabulary, and the verification result index was poor. If not, they showed mutual similarity.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verification method of this study was partially effective, and it could be said that it was a useful verification result in that it consistently informs the direction of supplementation of the vocabulary ranking list. The vocabulary grade verification method explored i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mproved the empirical quality of vocabulary grade setting and grade verification.

1. 서론

2. 검증 대상 어휘 등급화 목록 선정

3. 대규모 말뭉치 기반 어휘 위계와의 비교 분석을 통한 검증

4. 교과 텍스트 수준 설명력 통계 분석을 통한 검증

5. 결론

참고논저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