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생명연구 제68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가톨릭신자들의 종교공동체 참여가 환경 및 사회문제의 시민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Catholic Laypeople’s Participation in Religious Communities on Civic Engagement Intention for Environmental and Social Problems: Dual Mediating Effects of Religious Knowledge and Religiosity

DOI : 10.17924/solc.2023.68.65
  • 76

환경ㆍ인권ㆍ생명문제 해결 또는 완화를 위한 노력은 종교공동체 구성원들에게도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들을 위해 종교공동체의 구성원들은 자신의 공동체 내의 사회적 자본과 사회적 정체성을 기반으로 시민적 참여를 시도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동선을 실현하는 교회공동체의 본래적 역할에 주목하여 가톨릭교회 구성원들의 공동체참여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환경ㆍ인권ㆍ생명문제를 위한 시민적 참여를 보여줄 수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톨릭교회 모 본당에서 수집된 응답자료를 가지고 이중매개 분석을 진행한 결과, 종교공동체 참여는 신앙지식과 종교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신앙지식은 종교성과 시민적 참여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또한 종교성 역시 시민적 참여의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보여주었다. 종교공동체 참여와 시민적 참여의도와의 관계에서 신앙지식과 종교성의 이중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특히, 종교공동체 참여→신앙지식→시민적 참여의도로 이어지는 간접효과의 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가톨릭교회 신자들의 종교적 요인들의 역할과 중요성이 갖는 함의점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신앙지식과 종교성의 매개역할을 통해 교량 사회적 자본이 창출될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다.

Efforts to resolve or mitigate environmental, human rights, and pro-life issues are required of members of religious communities. To address these issues, members of religious communities may seek civic engagement based on their social capital and social identity within their communiti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cesses through which members of the Catholic Church can demonstrate civic engagement for environmental, human rights, and pro-life issues by focusing on the inherent role of the church community in realizing the common good. The results of the dual mediating analysis of responses collected from a Catholic parish showed that religious community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religious knowledge and religiosity, and religious knowledge had a positive effect on religiosity and civic engagement intention. Religiosity also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ivic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community participation and civic engagement intention,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religious knowledge and religios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rticular, the magnitude of the indirect effect from religious community participation to civic engagement intention through religious knowledge was the largest. Based on its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the role and importance of religious factors in the civic engagement of Catholic Church laypeople. Specifically, it can be expected that bridging social capital can be created through the dual mediating role of religious knowledge and religiosity.회적정체성, 신앙지식, 종교성, 시민참여, 생명수호

Ⅰ. 연구배경 및 문제제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방법

Ⅴ.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