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생명연구 제68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결여/부재의 정동적 욕망

Affective Desire of Lack/Absence in Dementia Care in the Pandemic: a Case Study of a Care Worker in Korea

DOI : 10.17924/solc.2023.68.225
  • 44

본 연구는 적절한 보상과 사회적 보호가 결여/부재한 상황과 마주하며 생성ㆍ발전하는 돌봄노동자의 정동적 욕망을 분석한다. 펜데믹 기간 동안 자신과 가족의 건강을 담보로 타자를 돌볼 것을 요구하는 도덕적 붕괴상황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정치화를 조심스러워하면서, 현장을 지키는 한 요양보호사와의 돌봄대화에 주목한다. 이 과정에서 신체를 통해 표현되고 수행되는 돌봄노동자의 연결 (불)가능한 존재론적ㆍ윤리적ㆍ정치적 분투를 정동의 관점에서 추적하고 지도화한다. 이를 통해 돌봄노동자의 일상과 노동에 내재화되어 잘 드러나지 않는 돌봄부정의의 역사적ㆍ문화적ㆍ계급적ㆍ젠더적 폭력성을 폭로한다. 나아가 위태롭고 취약한 상황에서 화자의 신체를 통해 강밀하게 다가오지만 표상하기 어려운 존재론적ㆍ윤리적ㆍ정치적 힘으로서의 정동적 욕망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결여/부재에 포섭되어 길들여지는 존재가 아니라, 미약하지만, 끊임없이 상응하고 조율하는 과정에서 생성적 차이로 드러나는 정동적 존재의 다른 신체들과의 연결 가능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affective desires of care workers facing situations of care injustice, in which adequate compensation and social protections are lacking or absent. The COVID-19 pandemic has led to the moral breakdown that calls for caring for others while setting aside the health and safety of oneself and their family. This study details a conversation with a care worker who struggled to work while moderating and abstaining from politicizing the above-mentioned issues. In this process, the ontological, ethical, and political struggles of the care worker are tracked, mapped,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affect. Accordingly, this study exposes invisible techniques of neo-liberalism that are internalized in her daily life and labor. Furthermore, the trajectory of affective desires as an ontological force was analyzed. In doing so, it is possible to suggest connection and solidarity with other affective beings, which are fragile, but are constantly revealed with generative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co-corresponding and attuning, rather than being tamed by absence.

Ⅰ. 서론

Ⅱ. 결여/부재에서 정동적 욕망으로

Ⅲ.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Ⅳ. 생동하는 결여/부재들과 횡단하는 몸

Ⅴ. 상응과 조율: 생성적 차이로서의 정동적 욕망

Ⅵ. 정동적 연결(불)가능성

Ⅶ.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