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생명연구 제68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노인의 죽음불안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Death Anxiety on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본 연구는 노인의 죽음불안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여가활동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노인 345명이 응답한 분석 자료를 SPSS 20 통계패키지프로그램의 위계적 분석을 이용한 위계적 조절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호작용의 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일반화선형모형의 도표기능을 통해 기울기와 교차여부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여가활동과 삶의 질의 상관간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였으나, 죽음불안과 여가활동, 삶의 질과 죽음불안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노인의 죽음불안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죽음불안과 여가활동의 상호작용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으로써 상호작용 변수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노인의 두려움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두려움과 여가활동의 상호작용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상호작용 변수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노인의 죽음불안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여가활동이 조절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인생에서 죽음이라는 피할 수 없는 결말에 대한 불안을 여가활동이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따라서 노인의 죽음불안과 이에 따르는 부정적인 정서를 개선하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노인의 죽음불안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여가활동이 갖는 중요성을 규명한 것이다. 이에 노인의 죽음불안이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 죽음에 대한 연관된 사건, 짧은 시각에 대한 지각 등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부정적인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수단과 방법을 발견하는 효과적인 방향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in the effect of death anxiety of the elderly on the quality of life. To verify this,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ethod using the hierarchical analysis of the SPSS 2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sed as the analysis data answered by 345 elderly people. In addition, in order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it was confirmed by the slope and intersection through the chart function of the generalized linear model.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leisure life and quality of lif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Death anxiety and leisure life, quality of life, and death anxiety al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xiety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e interaction variable between death anxiety and leisure lif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firm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interaction variable.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fear and quality of life, the interaction variable between fear and leisure lif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firm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interaction variable. This confirms that leisure activities play a controll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xiety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erefore, in this study,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buffer death anxiety through 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