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테러학회보 제16권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테러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다수준적 접근

A Multi-level Approach to Factors Affecting Fear of Terrorism

  • 52

이 연구의 목적은 테러두려움의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개인적 요인을 포함하여 국가의 사회ㆍ정치적인 상황에 따라 달리 형성되는 테러두려움의 특성을 고려하여 56개 국가를 대상으로 다수준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로는 미국 미시간 대학의 세계가치조사(World Value Survey)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수준의 변수로 활용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범죄피해두려움, 직접·간접범죄피해경험 중에서는 사회적 지위(계층), 범죄피해두려움, 범죄피해경험이 테러두려움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국가수준의 변수로 활용된 민주주의의 정도와 공공서비스 제공, 인권침해 중에서는 민주주의의 정도와 인권침해가 테러두려움에 각각 부(-)적 영향과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개인수준의 영향요인 검증에 집중하였던 기존의 선행연구를 확장하여 국가수준의 변수까지를 모델에 투입, 다수준적 분석을 실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 과정에서 54개 국가의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연구의 편향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국가수준의 변수를 고려하여 진행된 초기 테러두려움 영향요인 분석 연구로서 이 연구를 바탕으로 하는 후속 연구 진행 및 테러두려움에 대한 다양하고 구체적인 정책적 논의가 진행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f fear of terrorism. In the process, a multilevel analysis was conducted on 56 countries. This is because fear of terrorism has characteristics that are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 of the country, including individual factors. As data, the World Value Survey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in the United States was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ear of crime, and direct/indirect crime experience were used as variables at the individual level. Among them, social status (class), fear of crime, and experience of crime had a positive (+) effect on fear of terrorism. As variables at the national level, the degree of democracy, the provision of public services, and human rights violations were used. Among them,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democracy and human rights violations had negative (-) effects and positive (+) effects on fear of terrorism, respective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 number of standard analyses were conducted by expanding the existing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 verifying influencing factors at the individual level and putting variables at the national level into the model. In the process, the research bias was attempted to be removed by using data from 54 countries. As an early fear of terrorism impact analysis study conducted in consideration of variables at the national level, it is hoped that various and specific policy discussions on fear of terrorism and follow-up research based on this study will be conduct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Ⅳ. 인터뷰 분석 결과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