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한 대구지역 플랫폼종사자의 집단조직화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on Collective Organizing of the Platform Workers in the Region of Daegu Using Ordered Logistic Regression Mod
새로운 고용형태로서 플랫폼노동의 확산과 함께 플랫폼종사자의 조직화 필요성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플랫폼종사자의 노동자성이 쟁점으로 부각됨에 따라, 집단조직화 방안 역시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플랫폼종사자의 집단조직화 모형을 크게 노동자성 인정 여부에 따라 노동조합으로의 조직화와 협동조합으로의 집단화로 구분하고, 각각의 집단조직화 모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다. 대구지역 플랫폼종사자 중 특히 쟁점이 되고 있는 배달플랫폼종사자에 대한 실태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협동조합 및 노동조합으로의 집단조직화에 대한 노동자의 인식과 이러한 노동자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주요 영향요인을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협동조합화 모형에 대해서는 기혼 고학력 상대적 고소득집단일수록 협동조합의 필요성 인식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 반면, 노조조직화 모형에 있어서는 기혼이면서 주업으로 플랫폼노동을 수행하는 상대적 고소득집단이지만 일자리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수록 노동조합 가입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With the expansion of the platform work as a new forms of employment, the social interests on the necessity of collective organizing the platform workers. But the platform workers are not regarded as a worker that can be protected by the Labor Standard Act, therefore, the ways to the collective organizing of platform workers also are varied from the point of view.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that are affecting to each models of collective organizing that can be differentiated as Cooperative Model and Trade Union Model.The data that was used in this paper was collected in 2021 by Daegu Social Economy Center to investigate the situations and status of platform workers in Daegu. This study have used the ordered logistic regression to analyze the main factors that are affecting the acceptance of the platform workers to the Cooperative Model and Trade Union Model as a means of representation of their collective interests.The results of analysis suggest that the delivery platform workers in Daegu who are married, more educated and have higher income, recognize more the necessity of the cooperatives. In contrast to that, the delivery platform workers in Daegu who are married, hold it as a main job and have higher income are more ready to be organized by trade un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분석틀
Ⅲ. 연구모형 및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