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 분야에 있어서 말뭉치의 기능과 효율성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 왔지만, 제 2 언어 교수 및 학습의 분야에서는 비교적 최근 들어 말뭉치의 활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 졌다. 본고는 화행(Speech Acts) 중 ‘감사에 대한 답변’의 사용 용례를 모국어 화자의 말뭉치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실제 한국어 모국어 화자가 감사에 대한 답변으로 주로 사용하는 어휘나 표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와 비교하여 한국어 교재가 실제 모국어 화자의 사용 용례를 얼마만큼 잘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먼저 이 연구는 모국어 화자의 구어 말뭉치와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용례를 바탕으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감사에 대한 답변 형태를 크게 다섯 가지로 분류하고, 이 다섯 가지 답변 형태가 모국어 화자의 구어 말뭉치 및 한국어 교재에서 어떤 비율로 나타나는지를 비교하였다. 본고의 결과에 따르면,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감사에 대한 답변 양상이 실제 모국어 화자들의 사용 용례와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고의 결과는 모국어 화자의 말뭉치 분석이 교재 집필과 외국어 교수 및 학습에 좋은 자료가 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특히 화행의 경우엔, 상황에 따라 그에 적절한 관용화된 표현이 자주 쓰이므로, 한국어 교재 및 교수에 있어 모국어 학습자의 실제 발화에 가까운 현실적인 언어 표본을 제시하는 것은 제 2언어 학습자의 화행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1. Introduction
2. Speech Acts and Pragmatic Competence in L2
3. Method
4. Results and discussion
5. Conclusion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