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This study aims to select ‘a class of wish expression’ and establish levels of them for the effective Korean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job, I investigate the actual use of the native speakers through the Spoken Corpus and survey the aspect of the Korean learner’s Corpus. Based on the result, I choose few expression; -고 싶다, -(았/었)으면 좋겠다, -(았/었)으면 하다 as for essential expression thorough the frequency in use and learning degree of difficult. I attempt to make to a hierarchy which is set a standard for Korean learn’s learning periods such as novic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I suggest that it has to be shown ‘-고 싶다’ is following an action verb in 1st speaker subject sentence with information; not combining with elements meaning of ability and ‘-겠-’, directly expressed speaker’s desire and usually used in common and unofficial conversation. Comparing with ‘-고 싶다’, it has to be presented that ‘-(았/었) 으면 좋겠다’ carries out 1st speaker wanting for another person to do something. ‘-았(/었)으면 하다’ substitutes for ‘-았 (/었)으면 좋겠다. In the end, I suggest a spiral pedagogy of a class of wish expression.
목차
1. 서론
2. 희망 표현들의 특성과 사용 실태
3. 희망 표현의 교육 실태
4. 희망 표현의 교수 방안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6)
- 평가 기준을 통한 중국 대학교의 한국어 교재 분석
- 일본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경어법 교육 연구
- 일본어 화자를 위한 개화기 한국어 교재의 언어 교수 고찰
-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인사표현 양상과 그 효과적 교수 방안 연구
- 연결어미 ‘-ㄴ데’의 수업 지도 방안 연구
- 한국어 교재의 문형유형 분석
- 한국어 교육을 위한 희망 표현 연구
- 통합 교수 및 학습자간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소집단 읽기 수업 방안
- 영어, 중국어, 일본어권 화자의 한국어 음운 규칙 적용과정에서의 음소 산출 오류에 관한 연구
- 교사 피드백 방법이 한국어 학습자 작문의 형태 오류 감소에 미치는 영향
- ‘사이’, ‘동안’의 어휘 정보 연구*
-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언어 능력 기술
- 베트남어권 학습자의 오류 연구
- 중국 대학의 한국어학과에서 학생들의 한국어 습득 양상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 한국어 듣기 교재 내 음성 자료 속도의 실제성
- 재외동포의 한국어 사용 실태 연구 방향에 대한 일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