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제한국어교육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언어 능력 기술

Specific Purpose Language Competence and Its Description

  • 17

No teaching is possible without clearly defined learning goals. The learning goal for a specific purpose language course can be called “specific purpose language competence”, which is by definition a partial and weighted proficienc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how this competence can be described. We will show that although there exists some general purpose proficiency scales, these are not suitable for a description of a specific purpose language competence. We will therefore suggest a clear distinction between proficiency scales and level descriptions and then demonstrate a procedure to formulate level descriptions based on analytic proficiency scales.

1. 문제 제기

2. 언어 능력 기술: 척도와 등급 기술의 개념 정립

3. 특수 목적 외국어 능력의 특징

4. 총체적 일반 척도의 부적절함

5. SP 능력 기술을 위한 분석적 척도의 활용

6. 특수 목적의 능력 기술을 위한 척도의 특성

7. 특수 목적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등급 기술의 실례

8. 나가는 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