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Although there have been much research done on Korean subject and object case marking errors of English native speakers, most of them focus on the identification and categorization of those errors and stop short of exploring underlying causes of those errors. The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causes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essential not only in correcting learner errors with proper feedback but also in developing better teaching materials and classroom instructions. This study identifies errors from interference of English and explores their underlying causes using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and corresponding English constructions.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show many subject and object case marking errors are related with Korean double nominative constructions with the predicate of an adjective or intransitive verb. In English, however, these constructions are usually expressed with the predicates of transitive verb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how to teach certain Korean sentence constructions.
목차
1. 들어가기
2. 주격 조사와 목적격 조사 대치 오류
3. 나가기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6)
- 귀국학생 및 외국인 아동을 위한 일본어 교육 현황 고찰
- 외국어로서 한국어 문법에서의 새로운 문법 체계를 위하여
-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체감형 한국어교육콘텐츠 개발 및 구성
- 한국어 인터뷰 시험 담화에서 나타난 구어 문법적 오류 분석
- 신문 수업용 어휘 목록의 작성 방향
- 이주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
- Teaching Culture in the Advanced KFL Reading Class: Using an Information-Processing Approach
- “한국어능력시험”과 일본 “<한글>능력검정시험” 초급 문제에 대한 비교 연구
- 한국어 원어민 화자의 표현 형태 양상 조사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텍스트에 대한 대조 수사학적 연구
-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학습 활동의 현황과 변천 과정 연구
- 한국어 교육과정의 현황과 과제
- 중국인 학습자언어에 나타나는 한국어 종성에 대한 음향․청취 음성학적 오류분석
- 담화 원리를 바탕으로 한 제안 기능 교육 내용 구성
- 한국학 전공자를 위한 한국 사회․문화 교재 개발 방향
-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주격과 목적격 조사 대치 오류에 대한 비교언어학적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