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억양 체계의 습득 과정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한국어 억양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와 원어민 한국어 화자가 우화를 읽은 음성자료를 바탕으로 억양구, 억양 음조, 경계음조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단문장 단위에서는 초급 학습자보다 고급 학습자가 억양구와 억양음조를 원어민 화자와 비슷하게 구사할 수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복문장과 문단 단위에서는 고급 학습자임에도 불구하고 문장사이의 정보 구조를 나타내는 경계음조나 문단음조의 사용은 아직 원어민 화자에 비해 많이 다름을 보였다. 이 실험을 통해 한국어 학습자의 억양 습득의 순서가 작은 억양 단위에서부터 큰 억양 단위로 진행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습득의 과정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체계적인 억양학습을 위한 교수법을 학습자 단계별로 제안한다.
1. Introduction
2. Experimental Study
3. Results and Discussion
4. Implication and Suggestions for Assessment and Teaching
5. Limitations of This Study
6. Conclusions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