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Several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for foreigners and overseas Koreans have been produced and broadcasted on television since late 1990’s.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these programs and analyzing them in aspects of broadcasting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aspect of broadcasting, the object, arrangement, information, contents and management of the programs are examined. In the aspec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yllabuses, approaches, language skills, materials, teaching language and cultural elements of the programs are examined.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s of developing the fu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on television.
목차
1. 서론
2. 한국어 교육용 TV 프로그램의 역할
3. 한국어 교육용 TV 프로그램 개관
4. 한국어 교육용 TV 프로그램의 분석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3)
-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중국 교수 학습자들의 요구 분석 연구
-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오류분석의 기준 연구
- 한국어능력시험의 개선 방안 연구(Ⅰ)
-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형 교육의 방향에 대한 일고찰
- 북한의 한국어교육 회화교재 분석 연구
- 한국어 교사론 21세기 한국어 교사의 자질과 역할
- 학문 목적 한국어를 위한 강의 담화표지 학습 연구
- 국외 한국어 교육의 발달 과정과 특징 1
- 한국어 교육용 TV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 1930년대 구소련 원동지역 한인 초등학교 문법 교재 내용 분석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주요 활동(2005.1-2005.3)
- Teaching Composition in the Advanced KFL Class: Using Peer Editing Tasks
- 한국어학습을 위한 프레지올러지에 관한 연구 (2)
추천 논문
-
유병일 (사)한국문화유산협회 야외고고학 0(15) 2012.11
-
유병일, 정숙희 (사)한국문화유산협회 야외고고학 0(7) 2009.12
-
유병일 한국대학박물관협회 KOMUNHWA No.70 2007.01
-
김나영(Kim Na-Young), 이진영(Lee Jin-Young) 중앙문화재연구원 중앙고고연구 제35호 2021.06
-
이수연(Su Yeon Lee) 영남고고학회 영남고고학 제79호 201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