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人文學硏究 第28輯.jpg
학술저널

한국어 감탄사의 형성 과정에 대한 관견

A Thought on the Formation of Korean Interjections

이 글에서는 국립국어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개방형 대사전인 ‘우리말샘’에 등재되어 있는 한국어의 감탄사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이 글에서 논의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의 감탄사는 그 기능에 따라 감정 감탄사, 의성 감탄사, 부름 감탄사, 응답 감탄사, 명령 감탄사 등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감정 감탄사와 의성 감탄사는 주로 어기 변동이라는 과정을 통하여 형성되며 이와 같은 감탄사는 공시적으로도 어느 정도 형성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명령 감탄사는 비형태론적 단어 창조 규칙에 의하여 형성되는 경향이 관찰되며, 파생이나 합성과 같은 결합적 과정은 감탄사 형성에 크게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한국어의 감탄사 중에서 감정 감탄사, 부름 감탄사, 응답 감탄사 등에는 어휘화를 경험하여 형성된 감탄사가 다수 관찰되며 이들은 모두 형태 변화, 의미 변화, 범주 변화 등을 경험하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들에 말미암아 우리는 한국어의 감탄사가 생산적으로 형성된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In this article, we accounted for the formation process of Korean interjections listed in Urimalsam, an open dictionary provid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interjections can be classified into emotional interjections, onomatopoeic interjections, calling interjections, response interjections, command interjections, etc., depending on their function. It also shows a tendency to form to some extent. In addition, command interjections tend to be formed by nonmorphological wordcreating rules, and concatenative processes such as derivation or compounding do not seem to be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interjections. Second, among interjections in Korean, many interjections formed by experiencing lexicalization are observed in emotional interjections, calling interjections, and response interjections,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all of them have experienced formal changes, semantic changes, and categorial changes. From these facts, we drew the conclusion that it is unreasonable to say that Korean interjections are formed productively.

Ⅰ. 서론

Ⅱ. 기본적 논의

Ⅲ. 한국어 감탄사의 공시적 형성 과정

Ⅳ. 한국어 감탄사의 통시적 형성 과정

Ⅴ. 결론 및 남은 문제들

인용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