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제한국어교육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Analysis of a KFL learner`s spoken performance variation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수행에 관한 연구: 숙련도가 다른 화자들과의 상호작용에서

  • 6

외국어 학습자의 구두 숙련도가 학습자 자신과 상대방 화자와의 말하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기존의 ESL 분야에서 많이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연구는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숙련도가 말하기 수행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학습자 자신의 대화 능력을 좀 더 폭넓게 이해한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또한 학습자가 말하는 것을 평가할 때, 교사는 학습자의 말하기 수행 변화(performance variation)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KFL학습자의 숙련도가 말하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한 명의 KFL 학습자가 숙련도가 각기 다른 세 명의 KFL 학습자들과 한 명의 한국어 모국어 화자와 대화를 하게 함으로써 학습자 숙련도가 대화 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고의 분석에 따르면, 숙련도는 학습자의 상호작용 요소(interactional features) 사용에 영향을 미쳤는데, 자신보다 낮은 숙련도의 화자와의 대화에서는 상대방 화자보다 좀 더 많은 상호작용 요소를 쓸 수가 있었으며, 반대로 자기 자신보다 높은 숙련도의 화자와의 대화에서는 상호작용요소를 쓸 수 있는 기회가 상대방 화자보다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구두 학습 측면에서는 학습자 자신보다 낮은 숙련도의 학습자와의 대화유형이 좀 더 많은 상호작용 요소와 대화 기술을 연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좀 더 나은 학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Van Lier and Matsuo(2000)의 결과와 일치한다. 본고의 결론 부분에서는 이런 연구분석 결과를 실제로 한국어 교수법에 어떤 식으로 반영시켜야 할 지를 논의한다.

1. Introduction

2. Study

3. Analysis and Results

4. Discussion / Conclusion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