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한국어 어휘 학습에 있어 어휘 제시 방법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조사된 바에 따르면, 제2언어 학습에서 제시되는 새 어휘들이 어휘 내적 연결 고리(lexicon-internal links)를 가지고 있는 경우(즉, 음운적, 형태적, 의미적, 통사적 유사성), 새 어휘의 인지와 학습의 향상을 가져올수도 있음이 논의되었다. 본고에서는 두 가지의 연구 가설을 다음과 같이 검증하였다: (1) 어휘 제시의 환경이 새 어휘 학습을 증진시키는데 있어 의미 있는 역할을 하는가? (2) 만약 그렇다면, 어떠한 어휘 제시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새 어휘 학습을 가장 효율적으로 하는가? 이 가설의 통계적 검증을 위해서는 분산 분석(Analysis of Variance)을 사용하였다. 조사 결과 연결 고리를 가진 새 어휘들이 그렇지 않은 어휘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통사적 연결 고리를 가진 어휘들이 학습자들에 의해 가장 효율적으로 학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고의 결과를 한국어 교수와 교재 개발의 측면에서 논의한다.
1. Introduction
2. Experiment
3. Discussion
4. Conclusion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