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제2언어 학습 아동들의 한국어 수량 분류사 습득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2언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수량 분류사 습득 단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발달 단계가 무표성 체계(Markedness Hierarchy)에 의해 제약을 받는지 검토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가설은 만약 제2언어 습득이 무표성 체계의 제약을 받는다면, 인성, 생물, 모양, 기능의 순서로 분류사를 습득하리라는 것이다. 제2언어 학습자들의 분류사에 관한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23명의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사용 아동을 대상으로 유도 산출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제2언어 학습자들은 인성, 기능, 생물, 모양의 순서로 분류사를 습득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 결과는 분류사 제2언어 습득은 무표성에 의한 제약보다 분류사의 사용 빈도, 분류사의 특성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1. Introduction
2. Method
3. Discussion
4. Conclusion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