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영어를 제1언어로 하는 호주내 한국어 학습자들이 빈번하게 범하는 어휘 오류가 어떤 것들인지 알아보고, 이들 어휘 오류를 형태와 빈도에 따라 분류해 보며, 그런 오류들이 일어나는 원인을 잠정적으로나마 밝혀 보려는 것이다. 영어 원어민 한국어 학습자 71명 (대학 2, 3학년 학생들)이 작성한 정규 시험 답안지 141개를 조사하였고, 이 가운데 Corder (1981:38-9)에 의거하여 자유작문식 텍스트와 재구성형식 텍스트로부터 총 305개의 어휘 오류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어휘 오류를 11개의 오류 형태와 4개의 품사별로 분류하고 각각 빈도수에 따라 그 순위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에 대해서 학습자의 한국어 수준과 작문의 난이도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해석을 시도해 보았다. 오류의 원인으로는 그 형태를 분석해 볼 때 크게 영어-한국어의 언어간 요인과 한국어의 내적 요인, 복합적 요인, 기타 개별 요인 등 네가지 범주로 묶을 수 있었으며, 전체적으로는 언어간 요인보다는 한국어 자체의 내적 요인에 기인한 오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언어습득이론, 교육과정 및 교재, 교수자와 학습자 등 네 가지 측면에서 한국어 교육의 효율성을 논하였다.
1. INTRODUCTION
2. METHOD
3. RESULTS
4. CONCLUSION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