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 2(통권 27권).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령친화 아파트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Senior-friendly Apartments in Korea: Focusing on research since 2010

  • 44

국내에서 베이비붐 세대로 인한 고령화의 가속화와 함께 공공정책에 의존적인 고령자 주거복지 지원의 사각지대 확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고령자가 재가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자신이 살아온 지역사회와 집에 계속 머물면서 자립적으로 생활하며 여생을 보내는 AIP개념이 향후 고령자 주거복지 기본방침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개념을 한국 실정에 맞게 제도화하려면 먼저 고령층 주거에 있어 수도권에서 가장 비중이 높은 아파트를 기반으로 한 고령친화 주거 지침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연구동향 파악을 목적으로 문헌고찰을 통한 선행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주제 유형은 고령친화 주거를 전제로 공간 계획, 서비스, 제도 및 정책 등 3개의 방향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 내용적으로는 베이붐 세대, 거주 지속성과 AIP 관련 연구들이 반영되어 있지만 민간 주택 시장에서 수용할 수 있는 AIP 개념 기반 고령친화 아파트 주거 지침 마련을 위해서 필요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향후 고령자 주거복지 지원 방안확장의 일환으로써 민간 아파트 기반의 AIP지원 제도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민간 주택시장에서도 수용 가능한 AIP 지원형 고령친화 아파트에 대한 개념 정의와 주거 지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In Korea, concerns are growing over the expansion of blind spots in housing welfare support for the elderly, which is dependent on public policies, along with the acceleration of aging due to baby boomers. In this change, the concept of AIP, in which the elderly continue to stay at home and live independently in the community where they lived, is drawing attention as a basic policy for housing welfare for the new elderly. In order to institutionalize this concept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in Korea, it is necessary to first prepare elderly-friendly housing guidelines based on apartments with the highest propor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To study this, research trends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s a result, the subject type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directions: space planning, service, system, and policy on the premise of elderly-friendly housing, and studies related to baby boomers, residence persistence, and AIP were reflected.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necessary to prepare elderly-friendly apartment housing guidelin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ublic and private housing marke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고령친화 아파트 관련 연구 동향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