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 2(통권 27권).jpg
KCI등재 학술저널

교수자의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 사용성 평가

Instructor Usability Evaluation toward Metaverse Education Platform

본 연구는 웹 기반 가상공간에 대한 학습효과를 사용성 평가를 통해 살펴보았다. 개인차와 심리, 기술, 환경 평가 요인 가운데 기술과 환경 분야를 특정하여 교수쟈가 인식하는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에 대한 만족과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는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인 MOIM을 활용해 강의를 진행한 교수자를 대상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에 대한 사용성을 온라인 설문지와 심층 면접을 통해 평가했다. 연구 결과, 교수자는 ‘공간/아바타 다양성의 부족’과 ‘수업 진행 방식의 제약’, ‘상호 작용의 제약’을 기술적 한계로 평가했으며, ‘구동 가능한 OS와 다바이스의 제약’, ‘수업 중 오류가 발생했을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지원과 대응 방법’이 구축되지 못했다는 점을 환경적 문제로 지적했다. 또한, 교수자들은 현재의 메타버스 기술을 교육현장에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지만, 그것이 보완되었을 때에는 에듀 테크로써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향후 메타버스 플랫폼이 교육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메타버스로서의 주요한 특징을 살리고 그것을 교육이라는 목적에 맞게 구현하는 등의 보완이 이뤄질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했다.

This study investigated instructors' perceptions of the Metaverse education platform and identified what is needed for sustainable Metaverse education based on usability testing. Data were collected from ten instructors who used the Metaverse platform MOIM during a semester at a university in Seoul. Results indicated that techn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ed the usability of the platform. Participants reported limitations in avatar diversity, class progress, and interaction due to technical limitations, as well as constraints related to operable OSs and devices, technical support, and error handling during class. However, the participants believed that the current Metaverse technology could be positively applied to the educational field with supplementation. The study concludes that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Metaverse technology for it to be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for education purpose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