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 2(통권 27권).jpg
KCI등재 학술저널

복합형 오프라인 서점의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Design of Compound Offline Bookstore: Centered on the KANO model

  • 86

본문은 복합형 오프라인 서점의 기능에 대한 공간 디자인을 연구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보화시대로 접어든 현재를 배경으로, 본문은 중국의 복합형 오프라인 서점의 현황과 연구된 문헌을 정리하여 중국의 복합형 오프라인 서점은 입구에는 안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도서를 열람할 수 있는 구역, 여가활동을 할 수 있는 구역, 도서를 비치하고, 판매하는 구역 이렇게 4가지의 구역을 필요로 한다고 제시하였으며, 또한 광주시(广州市)의 방소서점(⽅所书店), 청도시(成都市)의 방소서점을 사례로 한 분석을 통해 예술품 전시, 강연 등의 기능을 갖춘 안내구역을 배치하는 것이 이용객을 유치하는 데 유리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KANO 모형 이론을 활용하여 21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본문은 네 가지 공간의 세분화된 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세 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space design of compound offline bookstores with t he objective of enhancing customer satisfaction. Against the backdrop of the internet era, this st 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compound offline bookstores in China and relevant research l iterature. It proposes that compound offline bookstores in China should consist of four main com ponents: an entrance guidance area, a book reading area, a leisure activity area, and a cultural c onsumption area. Through case analyses of Fangsuo Bookstore in Guangzhou and Chengdu, it is found that setting up an entrance guidance area with functions such as art exhibitions and lectur e activities is beneficial for attracting customers into the bookstore. Furthermore, Through a sur vey of 210 questionnaires targeting the consumer group, this paper proposes three suggestions f or enhancing and refining the segmentation of functional configurationswithin the four functional spaces, based on the KANO model theory.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중국의 복합형 오프라인 서점의 만족도 사례분석

4. 설문조사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