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 2(통권 27권).jpg
KCI등재 학술저널

장소정체성 요소로서의 공공예술 활용이 문화마을의 경관요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Public Art Utilization as a Place Identity Factor on Landscape Elements of Cultural Villages: Comparative case study of Korea, China and Japan

  • 116

지역 사회 문화적 재생의 일환으로써 문화마을의 공공예술과 경관요소 디자인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한중일 3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들 지역이 지니고 있는 장소성과 장소감을 분석하였다. 1차 분석은 각 지역의 역사와 지역성을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2차 정량적 분석의 틀은 문화적 재생전략과 공공예술의 기능 그리고 경관 요소의 개념들을 상관분석한 것으로, 중국의 특정 세대 즉, 20대 30대 밀레니얼 세대를 매개변수로 하여 경관 상태 형용사를 활용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1, 2차 분석결과, 각각의 사례들은 각기, 장소연계, 장소의존, 장소지배적 공공예술품이 전시되어 있었으며 매개적, 체험적, 상징적 공유가치를 지닌 장소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통적인 장식적 공공예술 형태가 주를 이루었으나 부분적으로 참여와 개입, 뉴 장르 공공 예술 등의 형태를 보였다. 피험자들이 인지하는 장소감은 리커트 5점 척도 가운데 평균 중앙값 3 이상의 정규분포로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다만 경관 요소 가운데 체계성과 연속성, 편리성, 독창성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피험자들의 비의식적 인지과정의 단면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order to identify the role of public art and landscape planning in the Regional Cultural Area as part of the cultural regeneration of the local community, this study analyzed the placeness and sense of place of these regions, focusing on the cases of Korea, China and Japan. The first analysis qualitatively analyzed the history and locality of each region. The framework of the second quantitative analysis is a correlation analysis of the cultural regeneration strategy, the function of public art, and the concept of landscape elements, and uses adjectives of landscape status with a specific generation in China, that is, millennials in their 20s and 30s as parameters.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1st and 2nd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each case exhibited a place-linked, place-dependent, place-dominant public art piece, and had a sense of place with mediating, experiential, and symbolic shared values. Traditional decorative public art form was the main form, but partly participation and intervention, and new genre public art form were shown. The sense of place perceived by the subjects was normally distributed with an average median value of 3 or higher on a Likert 5-point scale, and the difference was not large. However, among the landscape elements, there was a difference in systematicity, continuity, convenience, and originality, and a cross-section of the subjects' unconscious cognitive process could be confirmed.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사례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