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Vol.25 No.3.jpg
KCI등재 학술저널

여가 동기와 제약요인이 노인 여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Leisure Motivation Factors and Leisure Constraints on Elderly Leisure Satisfaction

DOI : 10.37727/jkdas.2023.25.3.1193
  • 140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주요 여가 동기, 여가제약, 여가 만족 요인을 도출하는 것과 여가 동기와 여가제약이 여가 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원주 노인복지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으로 2022년 4월 1일에서 5월 30일 사이에 현장 설문 조사로 진행하였다. 총 320매를 배포하여, 이 중 299부를 유효표본으로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 동기 요인분석 결과 3개 요인(외재적 동기 요인, 무동기 요인, 내재적 동기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여가제약 요인분석 결과에서는 3개 요인(구조적 제약, 내재적 제약, 대인적 제약)이 추출되었고, 여가 만족 요인분석 결과 3개 요인(가족관계 만족, 환경 만족, 생활 만족)이 추출되었다. 둘째, 대인적 제약요인 즉, 여가 활동을 함께할 가족이나 동료가 없거나 참여하고 싶지만 도와줄 사람이 없을 때, 현재 사는 곳에 대해 만족하지 않고 또한 살아 가는 공간에도 만족하지 않는다는 의견을 밝혔다. 또한, 여가 활동을 별다른 이유 없이, 마땅히 할 일이 없어서, 다른 잡념을 없애기 위해 참여할 때 가족과 가깝다고 느끼고 가족과 친척들과의 관계가 좋아지며 사는 곳에서 사용하는 공간과 사는 곳에 만족한다는 응답을 나타냈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derive major leisure motivation,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 satisfaction factors of the elderly, and to find out how leisure motivation and leisure constraints affect leisure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elderly using Wonju Senior Welfare Facility, which was conducted as an on-site survey between April 1 and May 30, 2022. A total of 320 copies were distributed, of which 299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s effective samples.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ee factors (external motivation factors, no motivation factors, and internal motivation factors) were extracted as leisure motivation, and three factors (structure, intra-personal, inter-personal were extracted for leisure constraints and three factors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were drew for leisure motivation factors. Second, the respondents expressed their opinion that they are not satisfied with where they lives and are not satisfied with the space they live in when they have no family or colleagues to share leisure activities or when they want to participate but have no one to help them. In addition, when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for no particular reason, there was nothing to do, so when participating to eliminate other miscellaneous thoughts, they felt close to their families and relationships with their relatives improved, and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space and place they lived. In conclusion,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proposed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설계

4. 분석 결과

5.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