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은 문화재를 소장, 연구하고 전시하는 공공장소로서 사람들에게 문화와 역사를 가까이에서 접하며 참관하고 학습할 기회를 제공하며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가상 박물관은 수많은 박물관에서 활용되는 새로운 형식으로 자리잡았다. 가상 박물관은 선진적인 기술을 이용해 온라인 플랫폼에서 관람객에게 풍부한 박물관 체험을 제공한다. 연구범위는 TEA가 발표한 ‘2021 글로벌 테마파크와 박물관 보고서’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6개 가상 박물관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가상 박물관의 현황과 관람객 경험을 분석하여 가상 박물관에 현재 존재하는 문제를 파악하여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설문조사와 SPSS분석법을 통해 다양한 요인이 관람객 참여도에 미친 영향을 검증하고 관람객의 수요와 기대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상 박물관에 대한 관람객의 참여도가 주로 시각적 효과, 상호작용성, 전시 횟수/면적, 가상 전시물의 콘텐츠 및 기술 등 여러 가지 요인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요소는 관람객의 가상 박물관에 대한 전체적인 관람 경험 및 만족도를 결정짓는다. 미래에는 이러한 요소들을 개선하여 가상 박물관의 발전을 촉진할 수 있다.
As a public place for collecting, researching and displaying cultural relics, museums provide people with opportunities to get in touch with culture and history, visit and learn, and are deeply loved by people.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virtual museum has become a new form used in many museums. Virtual museums use advanced technology to provide visitors with a rich museum experience on a network platform. In the “2021 Global Theme Parks and Museums Report” published by TEA, the 6 most popular virtual museums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objects. The research method i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virtual museum and the experience of the visitors, grasp the existing problems of the virtual museum,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and spss analysis method, it verifies the impact of various factors on tourists' participation, and deeply understands the needs and expectations of touris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participation of visitors in the virtual museum is mainly affect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visual effects, interactivity, number of exhibitions/area, content of virtual exhibits, and technology. These factors determine the overall experience and satisfaction of visitors to the virtual museum. These factors can be improved in the future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virtual museum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가상 박물관의 현황
4. 실증조사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