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성 단옥수수 품종 육성을 위한 자식계통의 카로티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평가
Assessing Carotenoid Levels and Antioxidant Properties in Korean Sweet Corn Inbred Lines to Develop High-Quality Sweet Corn Varieties through Breeding
본 연구는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한 단옥수수 자식계통의 phytochemical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여 고기능성 단옥수수 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수행하였다. 1. Carotenoid 함량이 가장 높은 계통은 KSE34 (1239.3± 6.4 mg 100 g-1), flavonoid 함량이 가장 높은 계통은 KSE6 (68.6±9.6 mg CE 100 g-1)으로 나타나 각 계통마다 화합물의 함량이 다양하였다. Phenolic compound 함량은 대부분의 단옥수수 자식계통에서 풍부하게 나타났으며, KSE8 과 KSE25가 가장 높은 함량을 가진 계통이었다. 2.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으로 평가한 국내 단옥수수 자식계통의 항산화 활성 중 DPPH 활성은 계통 간에 다양하였으나, ABTS 활성은 차이가 적게 나타났다. KSE30 과 KSE6이 각각 108.4±9.6 mg TE 100 g-1, 104.2±12.8 mg TE 100 g-1로 가장 좋은 DPPH 활성을 보인 계통이었으며 KSE47, KSE4, KSE21은 낮은 활성을 보였다. 3. 계층 군집 분석과 주성분 분석을 사용하여 단옥수수 자식계통의 농업적 특성을 비교하고 분류하였다. Carotenoid, polyphenol, flavonoid 함량이 높고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4개 계통(KSE6, KSE30, KSE34, KSE40)이 선발되었고, 향후 조합 능력 평가를 거쳐 고기능성 단옥수수품종 개발에 활용할 것이다.
Sweet corn is widely consumed due to its high nutritional content and diverse phytochemical composition, including carotenoids and phenolic compounds, which have several benefits for human health. This study aims to identify breeding materials for developing high-functional sweet corn varieties by evaluating the phytochemic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37 Korean sweet corn inbred lines. The results revealed genetic variation in various components, such as carotenoid content (range of 120.7~1239.3 mg 100 g-1), polyphenol content (490.5~740.6 mg gallic acid equivalent 100 g-1), and flavonoid content (7.3~68.6 mg catechin equivalent 100 g-1). In addition, the fre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measured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and 2,2ʹ-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lso varied among the inbred lin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identified Korean sweet corn inbred lines with high phytochemical content and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y. The development of sweet corn varieties with improved functionality is expected to further expand the role of sweet corn as a source of antioxidants in the Korean diet.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인용문헌(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