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분포가 다른 재배지에서 생장한 겉보리 생육, 수량 및 품질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Growth, Yield, and Grain Quality of Hulled Barley Grown Under Different Meteorological Conditions in South Korea
본 연구는 기후분포가 다른 3개 그룹 지역(G1, G2, G3) 에 겉보리를 파종하고, 월동 전(12월), 월동 후(2월) 및 출수기(4월)에 생육과 수확기(6월)에 수량 차이를 조사하였고, 이들 그룹 지역간 생육과 수량차이와 작물생육기 기상요인과 출수기에 토양화학성과 잎 무기성분과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수확기에는 그룹 지역간에 수확한 겉보리종자의 일반성분, 무기물 및 아미노산 함량을 조사하였다. 월동 전, 후 분얼수는 G1지역이 G2와 G3지역에 비해 높았다. 그러나 출수기의 분얼수와 지상부 건물중은 G2와 G3 지역이 G1지역에 비해 높았다. 재생기, 유수형성기 및 출수일의 경우 G2 지역은 G1과 G3지역에 비해 다소 늦었다. 그러나 엽록소 함량(SPAD값)은 그룹 간에 차이가 없었다. 수량의 경우 G2지역이 G1과 G3지역에 비해 9~15% 감소하였다. G2지역의 수량 감소는 수수, 영화수 및 등숙율 감소에 기인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G2지역에서 수량이감소했던 것은 G2지역이 작물 생육기에 최고, 최저 및 일평균기온이 G1과 G3지역에 비해 낮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토양 내 무기성분은 G2지역에서 G1과 G3 지역에 비해 높았다. 식물체의 무기성분 함량은 G1지역에서 G2와 G3 지역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다. Cu, K, Mg 및P와 같은 무기물 함량은 G3 지역에서 그리고 조단백질과대부분 아미노산은 G2 지역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재배한계지 G1지역은 주산지 G3 지역에 비해 겉보리 수량과 일반성분, 아미노산및 무기물 함량 등에 부정적인 영향없이 안정적으로 재배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barley growth at different growth stages (Dec, Feb, and Apr) and the yield at harvest in three groups (G1, G2, and G3) with different climates. Additionally, we measured meteorological differences between areas during the growing season to determine which factors were related to growth and yield differences. We evaluate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oil and the mineral content in leaves during the heading stages. We also recorded the main constituents, amino acids, and mineral compositions of barley seeds grown in different areas. Tiller number/m2 in G1 areas was higher than in G2 and G3 when measured before and after overwintering. However, tiller number/m2 and dry aboveground plant parts/m2 in G2 and G3 areas were higher than in G1. Regrowth, panicle formation, and heading days in G2 areas occurred slightly later than in G1 and G3.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lorophyll content (SPAD value) between groups. The yield in G1 areas was 9~15% less than in G1 and G3. The decrease in yield in G2 areas could be due to lower panicle number, spikelet number, and ripening rate. In addition, the decrease in yield in G2 areas is likely because maximum, minimum, and average daily temperatures during the growing season were lower than those in G1 and G3. However, mineral nutrients in the soil were higher in the G2 area than in G1 and G3. The overall mineral content in plants tended to be higher in G1 areas than in G2 and G3. Mineral content such as Cu, K, Mg, and P in G3 areas and crude protein and most amino acids in G2 areas tended to be relatively low compared to other areas. Thus, the G1 area may be suitable for barley cultivation without adverse impacts on barley yield, main constituents, amino acids, and mineral contents compared to the main producing areas in G3.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인용문헌(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