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신학과교회 제18호.jpg
학술저널

민중신학의 문제점과 그 타당성

The Problems of Minjung Theology and its Relevance

  • 43

민중신학은 전통신학에 대한 반동 신학, 학문적 신학 아닌 사건신학으로 특징 지워진다. 민중신학의 방법론은 첫째 마르크스적 사회경제사적 성찰이다. 역사를 사회경제사적 이데올기적 관점에서 해석한다. 헤겔적 범신론적 관점은 역사를 신과 인간의 종합인 범재신론적으로 해석하였다. 헤겔의 관념론적 관점이 아닌 마르크스적 유물론적 관점으로 본다. 둘째, 사회경제사적 관점에 따라서 성경 텍스트에서 떠나 컨텍스트를 중요시한다. 구약의 역사를 사회경제사회적 관점에서 민중사건으로 해석한다. 민중신학자들은 마르크스의 계급투쟁 사회분석을 민중신학에 수용한다. 셋째, 민중신학은 성경해석이 정치적 상황에 의해 좌우되는 위험에 직면한다. 민중신학의 문제점은 1) 성경의 하나님을 인간 신으로 변형, 2) 죄 대신 한(恨, regretfulness) 강조, 3) 회개, 치유, 구원, 대신 증오, 한풀이, 인간성 실현 강조, 4) 구약의 구속사를 민중사건으로 변형, 5) 신약의 예수 구속사건을 민중사건으로 변형, 6) 개인의 존엄성이 민중사건 속에 융해, 7) 교회 개념의 변형이 있다. 민중신학의 공헌과 타당성은 1) 전통신학 아닌 상황신학, 2) 신학이라기보다는 민중 사회학, 3) 개인의 구원 아닌 공동체 구원 중요시, 4) 한국적 신학의 가능성, 한(恨)의 신학, 5) 민중신학은 신학이기보다는 민중운동, 6) 사회경제사 의식을 넘어서는 사랑의 단(斷) 행위를 강조한다는 점 등이다. 민중신학의 공헌은 1) 전통신학이 갖는 타계주의적, 집권층 안주와 옹호에 대한 비판이다. 그리고 민중신학은 2) 민중들의 억눌린 한을 대변하고 신학의 사회와 역사 참여, 현장성 강조한다. 3) 민중신학은 한국적 신학으로 세계신학계에서 해방신학과 같이 분류되어 인정받고 있다. 민중신학의 한계성과 신학적 가능성은 다음의 과제를 수행할 때 미래 지속 가능성이 있다. 1) 민중 개념의 탈이데올로기화이다. 사회경제사적 개념 아닌 성경적 개념이 요청된다. 2) 오클로스는 사회경제사적 지평이 아니라 구속사적 지평 속에서 해석되어야 한다. 3) 민중 개념은 하나님의 역사 주권 및 인간의 역사적 책임의 변증법적 관계에서 해석되어야 한다. 민중사관(사회경제사관)이 아닌 구속사에서 민중신학을 정립해야 한다.

Minjung Theology is characterized as reaction theology to traditional theology and event theology which is not an academic one. Its methology is firstly the Marxist socio-economic-historical reflection. Secondly, it considers context as important, apart from Biblical text. Thirdly, it faces a danger that the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 depends on the political situation. Its Problems are ① deforming Biblical God into human god, ② emphasizing regretfulness instead of sins, resentfulness, solution of regretfulness, a realization of humanity instead of conversion, healing, salvation, ③ deforming the OT salvific event into the Minjung event, ④ deforming NT Jesus event into Minjung event, ⑤ convergence of individual dignity into Minjung event, and ⑥ changing the church concept and so on. The contributions of Minjung theology are criticism of the status quo consciousness of traditional theology, representing the suppressed people, being recognized as a Korean theology worldwide. Minjung theology is a situation theology replacing traditional theology, It considers as important a community salvation which is not an individual one, suggesting Korean theology, being not theology but Minjung event, and emphasizing cutting action of love going beyond socio-economic-historical consciousness. The Limits and theological possibilities of Minjung theology are as follows: Firstly, the Mingjung concept should be de-ideologized, replacing the Biblical concepts. Secondly, ochlos should be interpreted out of salvific historical horizons. Thirdly, Minjung concept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dialectical relation of God’s sovereignty and human responsibility. It is suggested that Minjung theology be set up on salvation history, not on the socio-economical history.

Ⅰ. 머리말

Ⅱ. 민중신학의 특징

Ⅲ. 민중신학의 방법론: 마르크스적 사회경제사적 성찰

Ⅳ. 민중신학의 문제점

Ⅴ. 민중신학의 공헌과 타당성

Ⅵ. 민중신학의 공헌: 긍정적 측면

Ⅶ. 민중신학의 한계성과 신학적 가능성

Ⅷ.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