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세계역사와 문화연구 제66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사회다윈주의와 우생학이 19세기 말-20세기 초 미국 반이민정서 형성에 끼친 영향

본 논문은 19세기 말-20세기 초 사회다윈주의와 우생학이 미국내 반이민정서 형성에 미친 영향력을 분석한 것이다. 대체적으로 개방적이었던 미국의 이민정책은 이 시기에 제한적인 이민정책으로 전환하게 된다. 노동자계층, 토착주의자, 보수정치인들 사이에서 인종주의에 근간한 반이민정서가 확산되면서, 연방차원의 강력한 이민규제를 촉구했고, 이것이 이민정책에 반영된 것이다. 당시 반이민정서의 형성에는 사회다윈주의와 우생학의 역할이 매우 컸다. 사회다윈주의와 우생학은 인종주의에 근간한 인간의 불평등을 자연의 섭리로 설명하면서, 인종을 계서화했고, 이로 인해 반이민정책의 이데올로기적 기제가 되었다. 또 정치계와 지성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면서 반이민정책의 필요성과 정당성을 입증하는 이론적 근거가 되었다. 사회다윈주의와 우생학점 관점은 문화계 전반에 표출되어, 대중들에게 정형화된 인종적 편견을 심어주고, 인종은 불평등하며, 열등한 인종에 의해 미국사회가 퇴보되고 있다는 인식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대중적으로 반이민정서가 강화·재생산됨으로써 연방의회와 연방정부를 압박하게 되고, 이민정책의 변화를 초래하였다. 결국 19세기 말-20세기 초 미국 이민정책의 변화는 특정계층, 특정지역에 국한된 것이 아닌 대중적 반이민정서의 결과물이며, 그 기저에는 사회다윈주의와 우생학의 비뚤어진 인종주의가 흐르고 있었다.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impact of social darwinism and eugenics of the development of the anti-immigration sentiment from the late 19th to early 20th century. In the late 19th, as anti-immigration sentiment that based on racism spreaded among the working class, conservative politicians, strong federal immigration regulations were urged. As a result, the immigration policy in the United States has shifted to the restrictionist policy. Social darwinism and eugenics were huge part of the development of this anti-immigration sentiment. Social darwinists and eugenicist explained social injustice based on racism as the providence of nature and made people rank by race. These social darwinism and eugenics became an ideological mechanism of the anti-immigration policy and made a theoretical basis for proving the need and necessity for the anti-immigration policy by having a profound influence on political and intellectual circles. Furthermore, as these views are expressed throughout the cultural world, a stereotyped racist bias was formed in the public. And the perception that races were unequal and American society was being degenerated by inferior races had been formed. As anti-immigration protocols were strengthened and reproduced in these ways, they pressured the federal parliament and the federal government, resulting in changes in immigration policy. In conclusion, changes in the U.S. immigration policy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were not limited to specific classes and regions, but were the result of popular anti-immigration sentiment, and social darwinism and eugenics were at the root.

Ⅰ. 들어가는 말

Ⅱ. 19세기 중반-20세기 초 미국내의 신이민자들(new immigrants)

Ⅲ. 미국내 사회다윈주의와 우생학의 등장 및 성장

Ⅳ. 반이민정책의 이데올로기적 기제로서의 사회다윈주의와 우생학

Ⅴ. 나가는 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