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마한백제문화 제41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주거지 자료를 통해 본 익산 마한사회의 성격

Characteristics of Mahan Society in Iksan Viewed from Dwelling Site Data

익산지역 내 마한 주거지의 분포는 금강수계권(논산천·금강하류)과 만경강수계권(만경강중류·만경강하류)으로 구분된다. 금강수계권은 대부분 소형취락이 확인되며 아직까지 대형취락은 확인되지 않았다. 만경강수계권은 사덕과 장신리 등 대형취락이 확인되며, 대형취락을 중심으로 주변에 중·소형취락들이 분포하는 특징으로 보인다. 익산지역 마한 주거지는 시기적으로 성립기와 발전기로 구분할 수 있다. 성립기는 기원전 2세기 이전에 해당하는데 아직 조사된 주거지가 많지 않아 당시의 사회상을 살펴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발전기는 기원후 2세기 이후부터이며, 대형취락은 대체로 기원후 3~4세기를 중심으로 형성된다. 기원후 4세기의 익산지역은 정치적으로 백제에 통합된 시기이지만, 문화적으로는 마한의 전통성이 그대로 유지·지속되며 일부 지역에서는 기원후 6세기까지도 마한의 문화적 흔적들이 남아 있다. 이는 익산을 포함한 전북지역이 정치적으로는 백제의 영역으로 통합되었음에도 재지세력의 전통이 강하여 문화적으로는 백제의 문화 정체성이 그대로 이식되지 못한 것을 뜻한다. 마한이 백제를 받아 들이는 것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물질자료인 유물에서 백제문화로의 변화가 먼저 나타나고 서서히 주거지와 분묘로 백제문화가 이식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정치적 통합과 문화적 통합의 속도는 서로 다름을 알 수 있다.

The distribution of Mahan dwelling sites in the Iksan area is divided into the Geum River watershed area (Nonsancheon Stream and lower stream of Geum River) and the Mangyeong River watershed area (middle and lower stream of Mangyeong River). In the Geum River watershed area, small settlements are mostly identified, while large settlements have not yet been identified. Large settlements such as Sadeok and Jangsin-ri are identified in the Mangyeong River watershed area, and small- and medium-sized settlements appear to have been distributed around the large settlement. In terms of time, Mahan's dwelling sites in Iksan may be divided into the periods of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The period of establishment corresponds to before the 2nd century B.C., but there is a limit to examining the social aspects of the time since not many residential areas have been investigated yet. The period of development started from the 2nd century AD onward, and large settlements were formed mostly around the 3rd and 4th centuries AD. Although the Iksan area during the 4th century AD was politically integrated into Baekje but, culturally, the tradition of Mahan was still maintained and continued, and cultural traces of Mahan remained in some areas until the 6th century AD. This indicates that even though the Jeonbuk region including Iksan was politically integrated into the territory of Baekje, the cultural identity of Baekje was not transplanted culturally due to the strong tradition of the then local power group. It seems that Mahan's acceptance of Baekje did not take place 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the change to Baekje culture first appeared in relics as material evidences, and then Baekje culture was gradually transplanted into the scopes of dwellings and tombs. It can thus be seen that the speed of political and cultural integration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Ⅰ. 머리말

Ⅱ. 익산지역 마한 주거지 현황

Ⅲ. 익산지역 마한 취락의 특징

Ⅳ. 익산지역 마한사회의 성격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