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적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대학 중도탈락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University Dropout Research Trends Using Structural Topic Modeling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23권 11호
-
2023.06293 - 308 (16 pages)
-
DOI : 10.22251/jlcci.2023.23.11.293
- 385

목적 본 연구는 구조적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대학 중도탈락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중도탈락에 관한 다양한 쟁점과 이슈를 파악하고, 중도탈락에 영향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목적을 위하여 2003년부터 2022년까지 발간된 대학 중도탈락 관련연구 총 86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R프로그램과 R Studio를 활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먼저, 모든 단어의 출현 빈도를 행렬로 나타내는 DTM 생성, 토픽모델링 분석을 분석하고 이를 시각화 하였으며, 구조적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최종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대학 중도탈락과 연관되는 키워드는 학업성취, 스트레스, 신체상황, 적응력, 진로미결정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외에도 통학거리, 장거리, 기숙사 등이 중도탈락과 연관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구조적 토픽모델링에서 5개의 주제로 ‘학생들의 심리적 요인과 학업성취’, ‘사회적 적응과 대학생활의 통합성’, ‘진로미결정과 학습동기’, ‘학습환경 요인과 소속감’, ‘학교 환경요인과 지원 서비스’로 분류되었다. 결론 지난 18년간 대학생의 중도탈락과 관련하여 개인적 특성, 대학의 환경적 요인 및 지원방안과 관련된 연구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중도탈락과 관련된 연구동향의 종합적인 결과는 대학의 중도탈락을 예방할 수 있는 지원방안 마련 및 후속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various issues and problems related to university dropout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related to university dropout using structural topic modeling, and to identify various factors that affect university dropout. Methods A total of 86 papers related to college dropout published from 2003 to 2022 were analyzed for research purposes using the R program and R Studio. The DTM generation and topic modeling analysis, which represent the frequency of all word occurrences in a matrix, were analyzed and visualized, and the fin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tructural topic modeling.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keywords associated with college dropout were academic achievement, stress, physical condition, adaptability, and career indecision. In addition, five themes were identified in the structural topic modeling: “students' psychological factors and academic achievement,” “social adjustment and integration of college life,” “career indecision and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environment factors and sense of belonging,” and “school environment factors and support services. Conclusions Over the past 18 years, there has been a steady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ies on personal characteristics, college environmental factors, and support services related to college dropout. The comprehensive result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dropout shown in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preparation of support measures and follow-up studies that can prevent university dropou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0)
(0)